韓-李 모두 살았다…尹 운명은 4월로

되돌아온 ‘윤석열 VS 이재명’ 구도
與, 韓 복귀 ‘반색’→李 무죄 ‘착잡’
민주당, 파면 촉구 공세 더욱 속도


이번 ‘사법 슈퍼위크’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생환으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특히 이 대표가 극적으로 공직선거법 위반사건 2심에서 무죄를 받으면서 무게추는 또 한차례 출렁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4월로 밀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윤석열 대 이재명’ 구도도 더 이어지게 됐다.

헌법재판소는 27일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통지하지 않은 상태다. 통상 2~3일 전 선고일이 통지되는 것을 고려하면 이번주 가능성은 낮아졌다는 평가가 우세하다다.

한 권한대행과 이 대표는 모두 생존에 성공하면서 대통령실과 정치권의 관심도 다시 ‘윤석열의 시간’으로 쏠리고 있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 24일 탄핵소추안 기각으로 직무에 복귀했으며 이 대표는 전일 선거법 2심에서 1심을 뒤엎고 무죄를 받았다. 검찰이 항소심 판결에 불복해 상고하기로 밝혔지만, 이 대표로서는 사법리스크 대부분을 덜어낸 셈이다.

한 권한대행의 복귀에 반색했던 대통령실과 여당은 이틀만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대통령실은 공식 입장을 내진 않았지만, 1심 판단이 뒤집히긴 어려울 것이라는 데 내심 기대를 했었다. 특히 이 대표가 2심에서도 유죄가 나오면 정치적 치명타를 입지 않겠냐는 전망도 제기했다.

여권도 마찬가지다. 예상 밖 결과에 국민의힘은 전일 항소심 재판부에 “정치성향에 맞춘 재판”이라고 비판하며 대법원의 신속한 상고심 판단을 촉구한 상태다.

이 대표의 2심 무죄로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야권의 공세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민주당은 헌재에 조속한 파면을 촉구하는 비상행동 수위를 높이기로 했다.

한 권한대행 복귀로 대통령실-정부 간 결집이 다시 끈끈해진 만큼 ‘윤석열 대 이재명’ 구도가 다시 이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결과로 긴장감이 다시 높아지면서 여론 흐름에 따라 정치 지형도 또 한번 바뀔 전망이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여권 입장에선 이 대표를 겨냥할 동력이 떨어진만큼 윤 대통령의 기각이나 각하를 기대하며 전열을 재정비할 시간을 버는 것이 최선이 돼버렸다”며 “이 대표에 대한 사법리스크 부각이 어렵게 되면서 여론 흐름에 따라 향후 대응방안을 다시 모색해야할 때”라고 평가했다. 서정은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