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진 탄핵 심판…국민 지쳐간다

“뉴스 보면 피곤, 두통 증가” 토로
전문가 “미디어 노출 자제를” 당부


서울 마포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이모(58) 씨는 최근 탄핵이란 말만 들어도 경기를 일으킬 지경이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예상보다 길어지자 반복되는 뉴스에 피로감을 느끼면서다. 이씨는 “최근 들어서 불안하고 답답해서 머리까지 아파질 때가 있다”며 “대화를 시작하면 다 탄핵 얘기다. 결과에 대해 계속 신경쓰니 스트레스로 다가온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을 놓고 헌법재판소의 고심이 깊어지자 이씨처럼 피로감을 느끼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극명하게 둘로 나뉜 지지자들과 반복되는 탄핵 전망 뉴스 등을 지켜보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선고가 늦어지며 석 달 가까이 이어진 탄핵 집회로 일선 경찰관들은 ‘파김치’ 상태다.

헌재는 지난 27일에도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일정을 내놓지 않았다. 이번주 선고는 사실상 물건너 간 상태로 내주 선고를 기약하게 됐다.

26일에는 탄핵 정국의 분수령으로 평가되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결과까지 나왔다. 이보다도 늦어진 헌재의 심판에 ‘늑장 선고‘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리 기간은 역대 대통령 탄핵 심리 가운데 가장 길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11일 만에 탄핵 심판 선고를 내렸다. 윤 대통령의 경우 최종 변론 기일(2월 25일)이 마무리된 후 1개월 넘게 시간이 지났다.

직장인 박모(32) 씨는 “이재명 의원 2심 결과가 나올 동안 헌재는 뭘 했나 궁금하다”며 “선고가 늦어지니 중국 개입설처럼 해괴한 소문이 커지는 것 아닌가”라고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해국 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회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시기는 기존 환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며 투약량 등이 늘어나는 시기”라며 “미디어, 뉴스 등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기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