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토부 ‘명일동 씽크홀’ 사고조사위 구성

토질·기초 등 외부 전문가로 구성
지하철 공사 인근 GPR 탐사 강화
27일부터 안전성 확보 도로 통행


서울시가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땅꺼짐(씽크홀) 사고로 높아진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함께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사고 원인 규명과 함께, 주요 지하철 공사장 인근 도로에 대해서는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도 강화할 방침이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사고원인 조사를 위해 사고조사위는 지하안전관리특별법에 따라 토질·기초 등 법에서 정한 관련 분야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해 운영한다.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기 전, 서울시는 사고와 관련된 영상 및 계측자료를 최대한 확보해 조사위에 제공할 예정이다. 인근 폐쇄회로(CC)TV 및 차량 블랙박스 영상, 공사장 기록 동영상, 해당 지역의 상수도 유수량 추이, 인근 주유소에 설치한 계측기 검침 자료 등 관련 자료 일체다.

시민 불안 해소를 위해 땅꺼짐 사고 우려가 높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GPR탐사도 강화해 실시한다. 사고의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땅꺼짐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인 것을 고려해 도시철도 건설공사구간 42㎞와 주변 보·차도 20㎞에 대해 전면 조사를 실시한다. 추후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장 300여 개소의 주변도로에 대해서도 GPR탐사를 강화해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사고 이후 4차례에 걸친 GPR 조사를 통해 사고 주변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고, 경찰청과 협의해 27일부터는 도로 통행도 일부(사고지점 제외한 동남로 왕복 6차로 전체, 상암로 왕복 4차로 전체) 재개한다. 현장에 대한 복구는 사고 원인 조사에 지장이 없도록 지하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등을 거쳐 계획을 세워 추진한다.

아울러, 지하시설물·지하철 9호선 공사·토질적 특성·서울세종고속도로 터널 구간 등 다양한 원인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다. 박병국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