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하는 의사과학자 육성한다…정부, 올해 867억원 투입

학부·대학원, 석·박사 신규 80여명 지원
의대 졸업생 3% 수준으로 확대 목표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가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해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7일 서울 용산구 나인트리 로카우스 호텔에서 ‘2025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수료식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수료식에서는 전일제(Full-time) 박사학위 과정을 통해 기초의학, 공학 등 학위과정을 거치며 연구역량을 갖춘 의사과학자(MD-Ph.D) 28명에게 수료증을 전달했다.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수료자 및 참여자의 의견을 공유했다

앞서 복지부는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지원해 현재까지 총 68명의 의사과학자(MD-Ph.D)를 배출했다.

배출된 의사과학자(MD-Ph.D)들은 서울대학교·하버드대학교 등 국내·외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거나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연구를 병행한다. 또는 개인 창업을 통해 각자의 진로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부는 의사과학자 배출 수준을 연간 의대 졸업생의 1.6%에서 선진국 수준인 3%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학부부터 석·박사, 박사 후 연구 성장지원(신진·심화·리더 최대 11년), 글로벌 공동연구지원 등 보건의료분야 특화 융·복합 혁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이를 위해 올해 의사과학자 양성에 총 867억원을 투입해 학부 3개소, 대학원 5개 컨소시엄과 석·박사 신규 80여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박사학위를 취득한 의사과학자가 독립적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 92명 지원(신진 40명, 심화 30명, 리더 22명)하고, 의사과학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31개 과제를 선발할 예정이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사과학자(MD-Ph.D)는 임상 현장을 통해 맞닥뜨린 문제를 연구실에서 탐구하고, 연구실에서 밝혀낸 과학적 발견을 다시 환자들에게 돌려줄 수 있는 의학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융합 인재”라며 “이들이 국민들의 건강 증진과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견인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