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관 평균 27억 4087만원
![]() |
대법원. [연합] |
[헤럴드경제=안세연 기자] 올해 기준 조희대 대법원장의 평균 재산은 15억 8639만원을 기록했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평균 재산은 15억 4379만원을 기록했다.
대법원·헌법재판소가 27일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 변동사항’에 따르면 공개 대상인 고위 판사 132명의 재산총액 평균은 38억7520만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4억1420만원 증가했다. 헌법재판관의 평균 재산은 27억 4087만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7777만원이 줄었다.
대법원은 “주요 재산 변동 요인은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으로 인한 가액변동, 급여 저축, 상속 및 수증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5억 8639만원을 신고한 조 대원장의 자산 세부 내역은 배우자가 보유한 경기 성남시 아파트 10억 7900만원, 배우자와 반씩 보유한 서울 송파구 마천동 다세대 주택이 7억6000만원이었다. 또한 본인·배우자·자녀 등 공동소유로 그랜저 4대를 신고했다.
대법관 12명의 평균 재산은 37억2985만원으로 나타났다. 대법관 중엔 이숙연 대법관이 152억6000만원, 서경환 대법관이 63억여원, 신숙희 대법관이 43억여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가장 재산이 적은 대법관은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으로 3억1000만원을 신고했다.
한 해 동안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고위 법관은 이숙연 대법관이었다 30억원이 증가했다. 배우자의 퇴직금, 기부 대상 주식의 명의개서(변경) 지연이 원인이었다.
![]() |
.[DB] |
15억 4379만원을 신고한 문 대행의 재산 대부분은 부동산이었다. 경상남도 김해·하동·사천 등의 토지가 4억4천여만원, 아파트 등 건물이 5억 6천여만원이었다.
문 대행을 포함 이미선·김형두·정정미·정형식·김복형·정계선 재판관까지 7인의 재산 평균은 27억4087만원으로 집계됐다. 조한창 대법관은 올해 1월 1일 취임해 공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헌법재판관 중 재산이 가장 많은 건 올해도 이미선 재판관이었다. 75억 2000여만원을 신고했다. 가장 재산이 적은 건 김복형 재판관으로 7억5000여만원을 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