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지애나 일관제철소 ‘친환경’ 대응
장재훈 부회장 “美 관계자 협조로 탄생”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백악관에 초청된 것은 큰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핵심 기술에 대해 집중 투자를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2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투자 발표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루이지애나 주지사나 그리고 상·하원 의원도 함께할 수 있어 매우 큰 영광으로 생각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아울러 정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과는 2019년 방한 당시부터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라는 이야기를 해온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그런 점을 잘 이해해 주셨다”라고 덧붙였다.
향후 구체적 투자 계획에 대해 그는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앞으로 미국에서 생산할 차량을 그린 스틸을 써서 저탄소강으로 팔아야 하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준비가 돼 온 시설”이라면서 “향후 4년간 부품 쪽이나 부품에 들어가는 철판에 투자하고, 신기술과 로보틱스나 AAM(미래항공교통) 이런 쪽으로도 집중 투자를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24일 백악관에서 210억 달러(31조원) 규모의 신규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HMGMA의 생산능력을 현재 30만대에서 20만대 늘린 50만대로 늘리는 동시에, 기존 생산시설을 현대화하고 루이지애나에 현대제철 전기로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내용 등이 포함된 구상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국내기업이 대미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HMGMA를 준비하는 과정은 엔지니어들 그리고 작업 라인 현장까지 많은 자부심을 갖게 한 작업”이라면서 “품질 그리고 생산성 부분에서 최신 기술을 도입해서 고객에게 좋은 품질의 차를 인도할 수 있는 부분이 가장 큰 것 같다”고 소회를 밝혔다.
장 부회장은 “조지아주를 포함한 관계자들이 공장이 건설되는데 많은 협조를 해 주셨다”라면서 “메타플랜트라는 이름 자체가 기존의 플랜트를 뛰어넘는다는 의미가 있는 만큼, 현장에서 앞으로의 제조 기술에 대해서 어떻게 나갈 것인가 하는 현대차 방향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향후 미국 시장 대응 전략에 대해 그는 “시장에 대한 파이는 계속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시장에서의 위치 확보를 지속적으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함께 자리한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장도 “전기차보다는 미국 쪽에서 하이브리드차량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첫 번째 생산차량을 하이브리드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미국에서 지속 성장하는 물량은 HMGMA에서 커버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서재근·김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