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사에 김재교 부회장 선임
“R&D·신약 제약 정체성 살릴 것”
임주현 부회장 사내이사로 입성
![]() |
지난 26일 취재진과 만난 김재교 신임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 최은지 기자 |
![]() |
송영숙 회장 |
한미약품그룹이 1년여간 이어진 경영권 분쟁의 종식을 선언하며 전문경영인 체제를 출범했다. 비만 치료제 등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면서 ‘신약 명가’로서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의지다.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은 지난 26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 본사에서 열린 지주사 한미사이언스 정기주주총회에서 ‘인사글’을 통해 “한미약품그룹에 더 이상의 분쟁은 없다”며 경영권 분쟁의 종식을 공식 선언했다.
송 회장은 “한국의 기업 경영 환경에서는 볼 수 없었던 선진적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고 대주주는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이들을 물심양면 지원하고 관리·감독하는 본연의 역할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며 “대주주들의 합심, 이사회의 탄탄한 지원, 전문경영인들의 자유로운 역량 발휘가 조화를 이뤄 한미약품그룹은 글로벌 기업으로 비상할 것임을 주주님들께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송 회장은 이날 한미사이언스 사내이사·대표이사 직에서 사임했다. 한미사이언스는 주총 이후 이사회를 열고 메리츠증권 부사장 출신 김재교 한미사이언스 부회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주총에서는 김 신임 대표이사와 임주현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부회장, 심병화 전 삼성바이오로직스 상무, 김성훈 전 한미사이언스 상무 등 4명의 사내이사 후보와 최현만 전 미래에셋증권 회장, 김영훈 전 서울고법 판사(법무법인 린 변호사), 신용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등 3명의 사외이사 후보 선임 안건이 원안대로 통과됐다. 김 대표이사는 이사회 후 취재진과 만나 “한미약품그룹에서 처음 하는 전문경영인 체제라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클 것”이라며 “임성기 선대 회장님의 도전과 혁신 철학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제약업의 정체성인 R&D(연구개발)와 신약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한미약품그룹은 본격적인 전문경영인 체제를 시작했다. 이는 가족기업으로 출발해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독일 제약사 ‘머크(Merck)식 경영 구조’를 차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경영인이 독자적인 경영을 하고 대주주는 감독하는 방식이다.
송 회장을 대신해 주총을 진행한 신유철 한미사이언스 사외이사(신유철법률사무소 변호사)는 “한미그룹은 오늘 이후로 어려웠던 지난 시간을 모두 털어내고, 오직 주주가치 제고만을 위한 길을 걷는 ‘뉴 한미’의 여정을 시작하고자 한다”며 “한국의 기업환경에서는 볼 수 없었던 선진적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고, 대주주는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이들을 물심양면 지원하고 관리·감독하는 본연의 역할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약품 역시 같은 날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김 대표이사(비상무이사)와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사내이사), 이영구 법무법인 대륙아주 대표변호사(사외이사)를 선임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이사(사장)는 “어수선했던 지난 1년간 주주들의 독려에 깊이 고민하며 올해를 새롭게 시작했다”며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고 영업이익은 업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원외처방 시장에서 블록버스터 20여 종을 배출하는 등 7년 연속 원외처방 1위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어 “2025년에는 한미의 창조, 도전, 혁신 가치를 다시 세워 완전히 달라진 한미약품으로 찾아뵙겠다”고 덧붙였다. 최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