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 안보 협의회’ 출범…안보위협에 범국가적 대응

대통령실

 

안보실 3차장 주재 회의 개최 AI 위협 관련 부처별 현황 점검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대통령실이 인공지능(AI) 안보 위협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국가안보실은 28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 주재로 이와 관련한 유관기관 합동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AI 관련 정책 및 위협 대응 등 AI 안보와 관련된 7개 정부 기관 국장급 관계자가 참석했다.

왕 차장은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생성형 AI 등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반면, 동시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AI 기술 오용과 통제력 상실 등으로 중대한 사이버 안보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가안보 차원에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이번 범정부 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대통령실과 유관기관이 AI 안보 관련 정책과 현안을 신속하게 공유하고 논의해 AI 안보 위협에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AI 안보 위협 실태 및 부처별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 과제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국가안보실은 AI 기술 활용에 관한 국가안보 차원의 위해성 검토 등 관계부처 간 논의가 필요한 경우 해당 협의회를 가동하기로 했다. 또 AI 관련 공공기관들로 구성된 별도의 실무그룹도 운영할 예정이다.국가정보원이 간사 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필요시 학계와 민간 전문가를 초청해 협의하는 등 범정부 차원 협업 및 논의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