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의 관계 관리 나선 푸틴 대통령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해 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연합] |
[헤럴드경제=서정은·문혜현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가까워진 북러 밀착이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북한, 중국 등 우호국과의 협력이 준비됐음을 발표했다. 러시아 정부 또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러를 공식 발표하면서 대미외교 공백을 메우고 있는 우리 정부로서는 짐이 하나 더 늘었다.
푸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과 관련해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움직임도 환영한다”며 우호국과의 협력을 시사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것은 미국만이 아니”라며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 등 모든 브릭스 국가와 다른 나라들이 있으며, 북한도 포함된다”고 했다.
지난 27일(현지시간)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교차관은 러시아 국제문제위원회(RIAC) 행사에서 두 나라가 김 위원장의 방문을 위한 준비단계에 있다고 했다.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 80주년 기념식이 ‘디데이’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방러가 성사될 경우 2023년 9월 블라디보스토크 방문 이후 2년 만에 이뤄지는 셈이다.
루덴코 차관은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올해 북한을 방문해 “전략적 대화를 지속할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라브로프 장관의 방북 목적을 두고도 “북한 친구들과 전략적 대화를 이어가기 위한 것”이라며 실행 의지를 밝혔다.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과정에서 푸틴 대통령이 확실하게 마지막 공세를 위해 북한군과 북한 무기가 필요한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을 몰아붙이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과 관계가 불편해질 여지도 있어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느낀 것”이라고 평가했다.
![]()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EPA] |
정부도 김 위원장의 방러 소식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5월 9일 전승절로 시기가 유력하게 보이는데, 아직은 갈 계획을 정한 것 같진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승절 외에도 별도로 방러를 할지, 9월 동방경제포럼 때 극동지역을 찾을 가능성 등을 모두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그야말로 그 직전날까지도 장담할 수 없다는 얘기다.
북러 밀착으로 우리 정부로서는 보다 까다로운 외교환경을 마주하게 됐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마저 힘을 실어주게 될 경우, 이를 견제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다만 정부는 “북한과 러시아와의 불법적인 협력에 대해서는 여러 번 메시지를 냈다”며 “일단은 주시 중”이라고 했다.
북러 밀착이 가져오는 파급 효과인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도 우리가 경계해야 할 부분 중 하나다. 특히 우리나라는 최근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 배경이 ‘핵무장론’에 기반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나오기도 한 터다.
김현욱 세종연구소장은 “북러 동맹관계의 형성, 중국과 러시아의 존재는 북한과의 통일에 장애물이 될 수 있지 않느냐”며 “한반도의 안보 차원에서도 우리나라에 득이 되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의 국제 체제와는 다른 국면을 만들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러-우 종전, 북한과의 대화를 어떤 수를 써서라도 만들려고 할 것”이라며 “기존의 냉전체제와 또 다른 다른 국제시스템이 열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