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 명품 주거단지 들어선다”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정비계획 결정 고시

최고 250m 초고층 건물, 총 9400여 세대


정원오 성동구청장. [성동구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3월 27일 주민의 숙원이었던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지구단위계획(정비계획) 결정(변경)이 고시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정비계획 결정 고시로 재개발이 본격 추진되면 문화와 수변을 누리는 서울을 대표하는 한강변 명품 주거단지로 거듭날 예정이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은 성수동1가 72-10 일대의 총 4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대지면적 16만평에 총 55개동, 9428세대의 공동주택이 들어서는 대규모 재개발 정비사업구역이다.

이번 정비계획에는 최고 250m 초고층 건물이 포함되며 기본층수 50층 이상 건축이 가능하다. 용적률은 준주거지역 최대 500%, 기타 지역 300%가 적용된다. 한강과 서울숲을 연결하는 선형공원 2개소, 단지 내 입체 데크, 수변 문화공원 등이 조성되어 문화와 자연이 어우러진 최적의 주거환경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앞서 서울시는 한강의 공간구조를 재편하여 매력 있는 수변공간 등을 창출하고 한강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9년 4월 해당 사업지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어 2011년 4월 주택재개발 정비구역을 지정·고시하였으며, 정비 계획상 최초로 최고 층수를 50층까지 허용하는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계획을 수립해 초고층 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바 있다.

그러나 2014년 서울시에서 수립한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일반주거지역의 최고 높이를 35층으로 제한하면서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구는 서울시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 정비계획 변경을 주도적으로 추진했다. 서울시에 도시기본계획의 부당함과 조합 측이 제기하는 재개발사업 추진의 어려움을 지속 건의해 사업 추진의 걸림돌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주택재개발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협의와 조정을 이어갔다.

성수전략정비구역 조감도. [성동구 제공]


마침내 서울시는 2023년 6월 4개 지구별로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성수전략정비구역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마련했으며, 이후 2024년 11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주동의 최고 높이를 250m까지 허용함으로써 기존 50층에 비해 훨씬 높은 건축물을 계획할 수 있게 됐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난 15년간 성동구의 숙원이었던 만큼 성수전략정비구역 결정 고시를 통해 해당 구역이 주거, 문화, 비즈니스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며 “고품격 명품 주거단지로 조성되어 성수동 일대 상호 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