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기술주 바탕 반등 예상
사이버보안 ‘틈새’ 눈여겨볼만
해외의존도 낮은 중국도 주목
![]() |
“4월 2일 상호 관세 발표와 함께 미국 증시는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정점을 통과하게 될 겁니다. 조정 후 2분기 이후부터 시장은 반등, 낙폭이 컸던 기술주를 바탕으로 단기적인 상승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으로 뉴욕증시가 다시 흔들리자 투자자들은 연일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적지 않은 타격을 주고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지난해 개미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미장’인 만큼 대세론도 탄력을 잃고 있다.하지만 오랜 시간 미국 증시를 연구해 온 박승진 하나증권 해외주식분석실장은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하나증권 본사에서 진행한 헤럴드경제 인터뷰에서 다시 돌아올 뉴욕증시를 전망했다.
“트럼프, 전형적인 비즈니스맨…미장, 4월 불확실성 고점 지나 하반기 반등 예상”= 박승진(사진) 실장은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는 미국 경제 우위의 상황과 정치적 기반을 유지하는 데 놓여있다고 봤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우위를 점하고자 경제 부담을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듯한 정책 기조를 내세우며 글로벌 무역 분쟁이 감세와 규제 완화보다 먼저 부각된 가운데, 미국의 경제 성장 전망이 훼손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대형 성장주들이 뒷받침하던 뉴욕증시 3대지수도 고점 대비 하락, 매그니피센트7(M7)의 수익률은 올해 들어 모두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다.
박 실장은 “그러나, 결국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의 우선순위는 미국의 경제 증진에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는 4월 이후에 조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의 경우, 2월 고점 수준에서 크게 상승하기보다 ‘5% 내외’에서 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2년 10월부터 강세장을 2년 넘게 이어왔기 때문이다.
박 실장은 “탄력 둔화 가능성은 존재하나 현 레벨에서의 트레이딩 기회는 분명 존재한다”며 단기 대응은 낙폭이 컸던 기술주를 보는 걸 추천하면서도 리쇼어링(해외 생산 국내 복귀) 정책을 강하게 펼치는 트럼프 특성상 산업재 또한 주목할 부분이라고 했다.
“엔비디아는 증명해야 하는 시기…사이버보안 등 틈새시장 노려라”=박 실장은 여전히 서학개미들의 관심이 높은 ‘엔비디아’는 “증명해야 하는 시기에 놓여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23년 이후 엔비디아에 대한 눈높이는 꾸준히 상향 조정됐기 때문이다. 그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반복된 서프라이즈로 인해 기대 효과가 이미 높게 구축됐고, 높아진 눈높이에 더해 저가 모델에 대한 불안감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프라이즈의 난이도가 더욱 올라간 상황이다.
그가 언급한 저가 모델은 단연 중국의 ‘딥시크’다. 1월 말 등장한 딥시크의 존재는 과거 평균 레벨을 크게 상회한 미국증시의 밸류에이션 부담을 부각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박 실장은 그러면서 AI와 양자컴퓨터 등이 대세인 시장에서 틈새로 AI 소프트웨어, 그중에서도 사이버 보안 관련주에 파고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