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vs미등록 의대생들 혼란에도…의협 “학생들, 독립적 판단 내릴 주체”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하면서 미등록 기조를 유지하는 의대생들과 함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그럼에도 “학생들은 독립적인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서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신뢰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길 바란다”며 “정부가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로 일관하면 공멸의 길만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휴학 중인 의대생에게 서한을 보내 “아직 복귀를 망설이는 분들은 주저하지 말고 강의실로 돌아와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각 대학이 예고한 의대생 등록 마감 일자가 속속 다가오면서 ‘동맹 휴학’의 형태가 깨지는 상황이다.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와 고려대 의대생들이 8~90% 복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등록 학생들에 대한 제적 통보 일자를 연기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27일 등록을 마감한 서울대 의대 재학생들도 90%가 등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휴학자를 제외하고 사실상 전원이 복귀한 셈이다. 이에 따라 이달 말까지 등록을 앞둔 경희대, 가톨릭대, 인하대 등 여타 의대생의 결정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협은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김 대변인은 “미등록이니 뭐니, 의과대학생 투쟁의 방향성에 대해 의협이 언급할 이유는 하나도 없기 때문에 공식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각 학교별로 등록 시한을 늘려 학생들이 고민할 시간을 주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저희가 결정할 수 없다”며 이에 대해 의협이 입장을 내는 것은 ‘월권’이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일주일 지상 산불로 국가적 재난 사태에서 관련 지역이 포함된 의대들이 학사 일정을 미루고 있다”며 “학장님, 총장님들은 최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보호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기에, 좀 더 정리된 상황에서 학생들이 고민할 수 있게 도와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의협이 우리가 알아서 투쟁할 테니 학생들은 자기 자리로 돌아오라’는 말을 왜 하지 않느냐는 말들이 있는 것도 안다”며 “(그렇게 말한다면) 의협이 학생들을 믿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는 학생들을 신뢰하고 있다”며 “고민하고 숙고하고 결정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의대 학장·총장들의 의견을 수용해 ‘이달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다. 미복귀 시 내년도 정원은 지난해 정부가 배정한 5058명이라는 조건도 달았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