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 |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서울대 의대 학생들이 등록 마감일인 27일 일제히 1학기 등록을 하기로 했다. 연세대 의대생들도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방침을 바꿨고, 고려대 학생들도 전체의 80% 이상이 등록 의사를 밝히는 등 대다수가 등록할 전망이다.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27일 오전까지 투쟁 방식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총 응답자 645명 중 기존에 휴학이 승인된 38명을 제외한 607명의 65.7%(399명)가 등록을 택했다. 미등록하겠다는 응답은 34.3%(208명)에 그쳤다.
TF는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 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일단 등록을 한 후 휴학이나 수업 거부 등의 방식으로 투쟁하겠다는 것이다.
TF는 “금일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 및 수강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대 의대는 이날 오후 5시에 1학기 등록을 마감할 예정이다.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26일 밤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한다고 공지했다.
연세대의 경우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이미 24일 미등록생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보냈다. 다만 학교 측은 28일 최종 제적 처리를 앞두고 여전히 선택의 여지는 남겨둔 상태다. 이에 이날 연세대에도 추가 등록 신청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도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28일 예정된 제적 처분을 앞두고 제적 대상자들과의 상담을 진행 중인데, 복학을 희망하는 상담 신청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등록률도 현재 80% 수준까지 올라간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학생들이 등록을 결정함에 따라, 다른 대학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다만 전체 의대생 단체는 일단 ‘미등록 투쟁’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이날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한 38개 의대 대표 명의 입장문을 내고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며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투쟁의 목적이 어느 것도 달성되지 않았다. 적법한 휴학원을 우리 스스로 찢어야 할 이유는 없다”며 “협회는 회원 보호를 위해 기존 방향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