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채보다 중단기채 펀드 수요↑
![]() |
여의도 전경 [게티이미지]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 자산인 채권형 공모펀드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올해 공모펀드(상장지수펀드 및 머니마켓펀드 제외)의 유형별 설정액 변동추이를 집계한 결과 채권형 공모펀드(국내외 채권 합산)에 8조4797억원이 몰려 유입액이 가장 컸다. 이어 재간접형 펀드(1조9417억원), 기타 펀드(9644억원) 순이었다. 국내주식형 공모펀드는 2396억원이 줄었고, 해외주식형 펀드는 1495억원이 유입되는 데 그쳤다.
펀드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채권형 공모펀드 가운데 올해 들어 자금 유입이 가장 많았던 펀드는 ‘코레이트셀렉트단기채펀드’로 설정액은 27일 기준 1조2634억원 늘었다.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펀드’(1조311억원)가 뒤를 이었다. ‘신한초단기채펀드’(814억원), ‘키움더드림단기채펀드’(5253억원) ‘우리단기채권펀드’(5040억원) 등도 유입액 상위권에 속했다.
채권형 펀드 중에서는 ETF보다 공모펀드에 대한 투자자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통상 ETF는 수수료가 저렴하고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어 공모펀드보다 인기가 높지만 채권 펀드에서는 상황이 반대가 됐다.
연초 이후의 자금 유입액을 보면 채권형 ETF는 1∼2위 상품이 3000억∼2000억원대에 그쳐, 1조원대에 달하는 최상위권 채권 공모펀드에 한참 못 미쳤다.
설정액 규모로 보면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펀드’가 2조8613억원으로 채권형 공모펀드 중에서 가장 덩치가 컸다. 2위는 ‘코레이트셀렉트단기채펀드’(2조4854억원)였고 ‘키움더드림단기채펀드’(2조3818억원), ‘우리하이플러스채권펀드’(2조2331억원), ‘유진챔피언단기채펀드’(2조1218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 상위 5개 채권형 공모펀드는 모두 설정액이 2조원이 넘었다.
올해 1월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측 불허의 전방위 관세 압박을 고수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졌다. 이에 미국 증시는 조정 압력을 받고 있다. 성장 기술주 중심의 미국 나스닥종합지수는 연초 이후 10.29% 떨어졌다.
한국 증시도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코스피 2600선을 다시 내줬다. 트럼프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대비책으로 안정성이 좋은 국내 채권펀드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는 진단이다.
금투업계의 한 관계자는 “장기채 펀드는 또 변동성이 큰 탓에 지금은 불확실성이 더 적은 중단기채 펀드에 대해 투자자 수요가 훨씬 더 크다”며 “금리 인하 속도가 다소 늦춰지겠지만 국내 성장 전망이 부진한 만큼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 채권 투자에 더 유리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했다.
![]() |
투자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