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산업은 신성장 동력…정책금융·R&D 확대해야”

김재원 의원·문체부, ‘콘텐츠산업 점검 및 국가지원 확대를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 개최
콘텐츠 투자 소외 해소·민간 자본 유입 위해 정책금융 필요
블록체인 등 기술 적용도 모색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과 문화체육관광부는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콘텐츠산업 점검 및 국가지원 확대를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현경 기자]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K-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는 가운데, 콘텐츠산업을 한국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왔다. 이를 위해 콘텐츠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연구·개발(R&D)을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다.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과 문화체육관광부는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콘텐츠산업 점검 및 국가지원 확대를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 의원은 “지금 우리는 거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을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며 “문화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창작 환경 조성과 전략적인 정책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콘텐츠 기업의 발굴과 육성, 인공지능(AI)·블록체인 등 신기술 기반 정책 방향, 법·제도 개선, 문체부 예산 확대 방안 등의 논의가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져 콘텐츠산업의 도약을 가속화하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용호성 문체부 제1차관은 “25년 전 콘텐츠 관련 첫 정책을 시작했다. 당시 시작한 사업 중 제일 중점을 둔 게 R&D와 금융이었다”며 “콘텐츠산업은 생태계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블록체인 부분은 저작권과 결합되면 새로운 도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여러 가지로 정국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정부에서는 앞으로 해 나갈 일들에 대해 하나씩 준비해 나갈 예정”이라면서 “오늘 제안된 정책을 탄탄하게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도 노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홍무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글로벌 콘텐츠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을 제시했다. 콘텐츠 분야의 투자 소외를 해소하고 민간 자본을 유입해 자본 조달 양을 늘리기 위해 정책금융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또한 우수 기업을 발굴하고, 일반 금융권이 콘텐츠 산업을 이해하고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정책금유의 확대가 필수”라며 “기능 중심, 산업 자본 및 해외 자본 유치를 통한 수익성 확대라는 큰 틀 속에서 환경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정책금융 제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동호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디어학부 교수는 ‘문화기술 R&D 개요와 투자 확대 필요성’을 주제로 발제에 나섰다.

그는 문화체육관광 R&D 예산은 2~3차 기본계획 기간 동안 연평균 약 6% 이상 성장했으며 국가 R&D 투자 총예산의 1%를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박용범 단국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블록체인과 문화 콘텐츠’ 발제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콘텐츠산업 적용 효과로 ▷기록물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 ▷접근의 용이성 으로 개인의 참여와 권한 보장 ▷기여에 비례하는 보상과 평판 획득으로 협력과 혁신 유도 ▷자동 결정사항 이행으로 진행시간 단축 ▷자금 조달 및 인센티브를 소개했다.

이어 종합토론에서는 김 의원이 좌장을 맡고, 박성현 CJ ENM 전략지원팀 부장, 진재영 문체부 문화기술투자과장, 김종원 상명대 SW융합학부 교수, 이대희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동호 교수, 박용범 교수 등이 참여해 국가 지원 확대, 저작권 보호 기술, 문화산업 법제 정비 등 다양한 과제를 논의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