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준엽(사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우수신진연구’에 선정됐다. 이 교수는 2형 당뇨병의 근본적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연구에 돌입한다. 혈당을 낮추는 데 중점인 기존 당뇨병 치료제를 넘어선 획기적 치료 접근법이다.
1일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이 교수는 최근 우수신진연구에 선정돼 2030년 2월까지 5년 동안 총 11억50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이번 사업은 젊은 연구자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기초연구 활동을 지원해 국가 과학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국가 지원사업이다.
창의성과 연구계획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신진연구자가 글로벌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형 당뇨병은 점진적으로 췌도가 기능을 상실하는 점진적 췌도부전이 핵심기전이지만,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치료제도 없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세포 간 신호전달 물질인 엑소좀의 다중오믹스 분석과 기원 조직 확인을 통해 췌도 부전에 관여하는 물질을 규명하고 생리적 기능을 검증하는 연구다.
지방조직, 근육, 간을 비롯한 몸의 여러 조직에서 분비된 ‘생물학적 메신저’인 엑소좀은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과 생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떤 조직에서 유래된 엑소좀이 췌도 부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면 표적 치료제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기대다.
특히 아시아인 당뇨병의 주요 특징인 췌도 기능 저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진행성 췌도 부전 방지나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현존하는 치료제는 대부분 혈당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증상을 조절한다.
이 교수는 “단순히 혈당을 낮추는 치료가 아니라 췌도 부전의 원인 물질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근본적 치료법 개발에 이번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상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