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청명절 휴무’ 차분…접경작업도 축소
![]() |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고 전군에 작전 및 복무기강 강화를 지시했다. 자료사진. [헤럴드DB]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고 전군에 작전 및 복무기강 강화를 지시했다.
회의에는 실·국장을 비롯한 국방부 주요 직위자가 참여했으며 김명수 합참의장과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고창준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주일석 해병대사령관 등 각군 주요 직위자는 화상(VTC)으로 참석했다.
김 대행은 “현 상황의 엄중함을 인식한 가운데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확고한 대북 군사대비태세를 확립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전군에 작전 및 복무기강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장성급 지휘관과 부서장이 대비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감사와 감찰·군사경찰·안전 등 제대별 가용조직을 통합운용하고 취약요소 집중 점검 등에 돌입했다.
김 대행은 “작전 및 복무기강 강화를 통해 정치적 중립 의무를 엄정하게 준수한 가운데 계획된 작전활동과 교육훈련을 차질 없이 시행하라”며 “국민과 장병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지휘관들이 현장에서 안전관리 시스템을 철저히 확인한 후 시행하라”고 강조했다.
또 “무엇보다 북한이 우리의 국내 상황을 틈타 예상치 못한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에 대비해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굳건히 하고 압도적 응징태세를 빈틈없이 갖춰야 한다”면서 “전 장병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군 본연의 임무에 흔들림 없이 매진하라”고 지시했다.
군은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앞서 대북 감시태세를 강화했다.
정찰기와 레이더, 열상감시장비(TOD) 등 감시장비 운용을 확대·강화하는 동시에 주요 지휘관들은 정위치 상태에서 대기했다.
이와 함께 군은 이날 탄핵 찬반 시민들과의 불필요한 접촉 가능성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영외 활동을 최소화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행작전을 제외한 모든 부대 활동을 영내로 제외했다”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장성급 지휘관의 판단하에 영외활동을 시행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청명절 휴무를 맞은 북한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군의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작업 인원도 이전보다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