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엔진 고도화·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 예정
서울경찰청·케이뱅크 협력…예방 범위 확대
![]() |
KT 광화문 East사옥 전경. [KT 제공] |
[헤럴드경제=차민주 기자] KT는 지난 1월 출시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서비스 개시 이후 2개월간의 운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KT가 ‘주의’ 및 ‘위험’ 등급으로 탐지된 보이스피싱 통화 중 확인 가능한 1528건을 분석한 결과, 탐지 정확도는 90.3%에 달했다. 특히 이 중 392건(25%)은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 또는 검찰·경찰 사칭 사례로 확인됐다.
KT는 정부가 발표한 2024년 보이스피싱 건당 평균 피해액 약 4100만원을 기준으로 환산했을 경우, 약 160억원 규모의 피해 예방 효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다만 요금 청구나 수납 관련 정상 통화에서 오탐 사례가 일부 발생했다. KT는 이를 최소화하고자 AI 엔진 고도화와 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를 상반기 동안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KT는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자체 개발한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과 경찰이 확보한 악성 앱 설치 인터넷 주소(URL)를 연계,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를 차단하는 데도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KT는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서울경찰청에 제공했다.
이로써 2024년 2월~3월 두 달간 총 20억1000만원 규모의 피해가 예방됐다고 KT는 설명했다.
![]() |
KT 사옥 내부 [연합] |
아울러 KT는 오는 4월부터 케이뱅크와 협력해 AI 기반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케이뱅크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과 연동돼, 고객이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받을 경우 실시간 탐지 정보를 케이뱅크에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사기 예방의 실효성을 높여, 향후 다른 금융사로 확대할 것이라고 KT는 밝혔다.
이병무 KT AX혁신지원본부장는 “KT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후후’ 앱을 통해 더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