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 까치, 까마귀, 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등
6월까지 계도기간, 7월부터 단속, 과태료 부과
![]() |
유해야생동물인 비둘기.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서울 한강공원과 광화문광장 등지에서 비둘기 등 유해아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다가 적발되면 과태료를 물린다.
1회 적발시 20만원, 2회 50만원, 3회 100만원 등 과태료 수준이 꽤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9일 시에 따르면 도시공원과 한강공원 등 서울 38곳이 ‘유해야생동물 먹이주기 금지구역’으로 지정, 10일 고시된다.
현행법상 유해야생동물은 참새, 까치, 까마귀, 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등 친숙한 것들이다. 이 동물들은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이나 과수에 피해를 주거나 일부 지역에서 서식 밀도가 너무 높아 피해를 준다.
금지구역에는 서울숲, 남산공원, 월드컵공원, 여의도공원, 북서울꿈의숲, 서울대공원 등 대부분의 공원이 포함됐다. 서울광장, 광화문광장과 한강공원 11곳(광나루·잠실·뚝섬·잠원·이촌·반포·망원·여의도·난지·강서·양화)도 지정됐다.
이러한 구역에서 유해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다 적발되면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1회 적발 시 20만원, 2회 50만원, 3회 100만원이다.
서울시는 “다중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유해야생동물의 배설물, 털 날림 등으로 인한 위생상 피해와 건물 부식·훼손 등의 재산상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고자 한다”며 “6월 30일까지 계도 기간을 두고 7월 1일부터 단속과 과태료 부과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월 개정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는 지자체장이 조례로 유해야생동물 먹이 주기를 금지할 수 있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자체장은 금지구역 지정의 변경 또는 해제를 3년마다 검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