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연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이 지난달 28일 정부세종청사 1공용브리핑실에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가족이 아닌 친구나 애인끼리 거주하는 비(非)친족 가구원이 지난해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었다.
비친족 가구 수도 1년 만에 10% 넘게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비친족 가구는 시설 등에 집단으로 거주하는 가구를 제외한 일반 가구 가운데 친족이 아닌 남남으로 구성된 5인 이하 가구를 의미한다. 마음이 맞는 친구들끼리 같이 살거나,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가구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비친족 가구는 1년 전보다 11.6% 증가한 47만2660가구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2016년(26만9444가구)까지만 해도 20만대에 그쳤던 비친족 가구는 2017년(30만8659가구) 처음으로 30만 가구를 넘어선 이후 2020년(42만3459가구)에는 40만 가구를 돌파했고, 지난해 47만 가구까지 늘었다.
비친족 가구에 속한 가구원 수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비친족 가구원은 101만5100명으로, 사상 처음 100만명을 돌파했다. 2016년(58만3438명)과 비교하면 5년 만에 가구원 수가 74.0% 급증한 것이다.
행정구역별로 보면 비친족 가구의 78.5%(37만164가구)는 읍이나 면이 아닌 동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12만6003가구)에 비친족 가구가 가장 많았고, 서울(9만9555가구)이 뒤를 이었다. 비친족 가구의 절반가량(47.7%)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했다는 의미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생물학적) 가족과 살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가구들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가족'의 형태에 걸맞은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전국 만 18∼69세 성인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6명 이상(62.7%)은 가족의 범위를 사실혼, 비혼·동거까지 확대하는 데 동의한다고 답했다.
앞으로 결혼보다는 동거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 혼인·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생계·주거를 같이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는 각각 87.0%, 82.0%가 동의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 지원은 여전히 가족 단위에 맞춰져 있다. 가령 소득세 인적공제의 경우 호적상 배우자만 공제가 가능하며, 주택청약 특별공급 등도 신혼부부 등을 상정해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