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 등서 한푼이라도 싸게 아끼려다”…‘알뜰족’ 노리는 사기꾼

직장인 최모 씨는 얼마 전 주유권을 싸게 산다는 중고거래 사이트 글을 보고 주유권을 구매했다가 사기를 당했다. 최씨가 구매한 주유권 사진. [독자 제공]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회사 복지’로 받은 건데 안 써서 파는 거라 했어요.” 직장인 최모(43) 씨는 얼마 전 주유권 판매 사기를 당했다.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주유권 5만원권을 3만7000원에 판다는 글을 보고 돈을 입금했으나 주유권을 받지 못했다.

최씨는 “돈을 보냈더니 연락이 두절됐다”며 “뻔뻔하게 아직도 물건을 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에 사기 피해를 신고했고, 피해자가 다수 있는 것으로 확인돼 관할서인 서울 강서경찰서로 사건이 접수됐다.

고물가 시대로 늘어난 최씨 같은 ‘알뜰족’을 노리는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물가 급등으로 상품권이나 기프티콘을 싸게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관련 중고거래 사기도 덩달아 활개를 치고 있다. 피해금액이 대부분 소액이라 신고가 쉽지 않다는 점을 노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5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할인쿠폰, 상품권 관련 중고거래 사기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짠테크족(돈을 아끼는 식으로 재테크를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포인트, 할인쿠폰, 이용권을 싸게 구매하면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팁이 공유되는 것을 노린 것이다.

실제 중고거래 사이트 중고나라에서는 최근 한 달 동안(7월 4일~8월 4일) 네이버 포인트 판매글이 105건, 치킨 할인쿠폰 판매글이 400건 각각 올라왔다. 이 외에 주유권, 편의점 상품권도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쿠폰이나 상품권 거래 시 등장하는 사기 수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먼저 최씨 사례처럼 돈을 보내도 물건을 받지 못하거나, 이미 사용한 쿠폰을 아직 이용이 안 된 것처럼 판매하거나, 거래한 뒤에 판매자가 결제를 취소해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식이다.

특히 최근에는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결제방식으로 거래해도, 판매자가 “구매확정을 빨리 눌러달라”고 요구해 피해를 입는 경우도 등장하고 있다.

당분간 물가 상승이 계속되면 관련 피해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3%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 이후 23년 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올해 1월 3.6%였던 물가 상승률은 반년 내내 상승하며 연초의 1.8배 수준으로 뛰었다.

경찰 등에 따르면 거래자 계좌번호나 연락처를 확인하는 것이 사기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경찰청 ‘사이버캅’에 계좌번호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최근 3개월 동안 3회 이상 사이버사기로 신고된 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피해공유 애플리케이션 ‘더치트’ 등에서는 피해자들이 직접 입력한 사기 피해를 통해 연락처나 계좌번호를 확인 가능하다.

사이버범죄를 담당하는 한 경찰 수사관은 “피해 규모가 아무리 작더라 할지라도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을 통해 전국적으로 신고가 들어오면 여러 사건이 묶여 수사에 나선다”며 “이 경우 대표 관할 서가 지정되고 사건을 담당하게 된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