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많이 할수록 불행’…52시간 초과 청년 가장 불행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이영기 기자] 노동시간이 긴 청년일수록 직무와 삶이 불만족스럽고, 개인 행복감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 '노동정책연구'에 따르면 박주상 지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청년 임금노동자의 노동시간과 행복' 논문에서 대졸 청년들의 노동시간이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박 연구위원은 2022년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해 34세 이하 대졸 청년 임금 노동자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을 주당 노동시간에 따라 ▷15시간 미만 ▷15∼40시간 ▷41∼52시간 ▷52시간 초과 네 그룹으로 나눈 후 구간별로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감 정도를 살펴봤다.

노동시간과 직무만족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를 보면 '매우 불만족' 또는 '불만족'이라고 말한 청년의 비율이 15시간 미만과 15∼40시간에선 각각 7.4%로 집계됐다. 반면 41∼52시간 시간대에서는 13.9%, 52시간 초과는 17.0%로 조사됐다. 근무시간이 길수록 직무에 불만족하는 비율이 증가한 것이다.

'매우 만족' 또는 '만족'이라고 답한 비율은 15∼40시간에서 59.4%로 가장 많고, 15시간 미만 52.3%, 41∼52시간 50.4%, 52시간 초과는 45.4%였다.

삶의 만족도의 경우 가장 낮은 1∼2점을 매긴 응답자가 15시간 미만 6.4%, 15∼40시간 4.4%, 41∼52시간 5.2%, 52시간 초과 5.9%였고, 가장 높은 6∼7점을 매긴 응답자 비율은 노동시간 구간별로 각각 33.6%, 43.9%, 37.9%, 34.7%였다.

대체로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자와 52시간 초과 장시간 노동자의 삶 만족도가 낮고, 15시간 이상이면서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청년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이다.

개인 행복도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행복도를 '전혀 느끼지 않았다'에 해당하는 1∼2점을 매긴 응답자의 비율이 15시간 미만 6.6%, 15∼40시간 4.3%, 41∼52시간 5.0%였고, 52시간 초과 근무 그룹에서 8.5%로 가장 높았다.

'항상 느꼈다'에 해당하는 6∼7점 응답은 15시간 미만 26.7%, 15∼40시간 36.5%, 41∼52시간 31.3%, 52시간 초과 30.5%였다.

초단시간 근무자, 장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낮고 15∼40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 학교·직장 특성 등을 통제하고 임금노동자의 노동시간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일관되게 나타났다"며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비정규직보다 정규직 노동자에게서 노동시간 증가가 더 크게 행복 수준을 낮추고 있으므로 정규직 중심으로 나타나는 장시간 노동의 문제를 국제 수준에 맞게 조정해가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노동시간 외에 다른 변수들을 보면 미혼보다 기혼이, 비수도권 대학보다 수도권 대학 졸업생이, 부모 소득이 높을수록 각각 행복 수준이 높았다. 반면 직장 소재지로는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행복 수준이 낮았다고 논문은 분석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