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2.2%·물가상승률 2.6% 전망[2024 경제정책방향]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정부는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물가상승률은 2년 연속 3%를 넘는 고물가에서 벗어나 2%대 중반으로 내려올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도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획재정부가 4일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7월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췄다. 주요 기관과 비교해보면 한국개발연구원(KDI)과는 같지만, 한국은행(2.1%)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정부 전망보다 높은 2.3%를 제시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2%로 예상해 정부 전망과 같다. 2023년 성장률 예상치는 1.4%다.

정부는 내년 성장률 반등의 근거로 세계 교역 회복을 꼽고 있다. 지난해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반기 들어 좋아지는 흐름을 보였다. 작년 10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연간으로는 7.4% 감소했다.

정부는 수출 회복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지난해 310억 달러에서 올해 500억달러로 개선될 것으로 봤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수출은 전망하는 정도로 회복이 시작됐다”며 “올해 어느 정도의 속도와 폭으로 회복할지는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예상하는 궤도 내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세가 완만하게 둔화해 연간 2.6%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전망보다는 0.3%포인트 높인 수준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등으로 작년보다는 상승률이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올해 상반기까지는 3% 내외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정부는 예측했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상여건 등에 따른 불확실성도 있다고 봤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3.6%를 기록했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전기·가스·수도 물가가 역대 최대폭 상승했고 지난해 하반기 들어 크게 뛴 농산물 물가도 쉽사리 진정되지 않았다.2022년(5.1%)보다는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19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3% 이상으로 올랐다.

올해 성장률 반등·물가상승률 하락 전망에도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내수로 온기가 확산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정부는 올해 민간소비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전망(2.2%)보다는 0.4%포인트 낮췄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잠재 리스크로 꼽히는 가운데 건설경기 전망도 어둡다. 정부는 올해 건설투자 전년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0.2%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 데서 '마이너스'로 전망을 수정했다.

고용지표는 그간 고용 호조를 견인하던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23만명 늘어날 것으로 봤다. 지난해 32만명(예상치)보다 9만명 줄어든 것이다. 인구 감소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고용률의 경우 지난해 62.6%에서 올해 62.8%로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