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도·일본 없으면 큰일난다…원료의약품 자급도 15년 만에 최저치

신약 이미지 [헤럴드DB]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원료의약품 국내 자급도가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해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2023 식품의약품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11.9%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8년 21.7%에서 등락을 반복한 끝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자급도가 낮아졌다는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수입액이 많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원료 의약품 순생산액’(생산-수출)을 ‘국내 생산 규모’(생산-수출+수입)로 나눠 계산한다.

중국, 인도, 일본의 원료의약품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의 60%에 달한다.

원료의약품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다. 2022년 1조2000억원(9억 달러)를 넘어섰다. 수년 간 1위를 유지하는 동시에 규모도 키워가고 있다.

같은 해 수입액 2위는 인도(4000억원), 3위는 일본(3000억원)이었다.

가장 많이 수입된 원료의약품은 항혈소판제 클로피도그렐(863억원)이다. 그 뒤를 조현병 등에 쓰는 아리피프라졸(491억원)과 치매 치료제로 쓰는 콜린알포세레이트(440억원)가 이었다.

이처럼 낮아진 자급도에 제약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처럼 해외 국가가 원료 공급량을 대폭 줄이면 보건의료 안보가 흔들릴 수 있어서다.

실제로 2021년 보건산업진흥원이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해외 원료 공급이 줄면서 제약사들의 80% 이상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생산 원료를 사용한 의약품에 대한 약가 우대 정책이 해결책으로 꼽힌다. 최근 보건복지부도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국가필수의약품에 국산 원료를 사용하면 약가를 우대해주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 방안과 시행 시점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 밖에 신약 개발 기업과 원료 제조사 간 R&D 협업 지원, 고부가가치 신약 원료의약품 생산·연구개발 지원 등이 해결책으로 꼽힌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