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기저귀를 분석하는 모습 [유한킴벌리 제공] |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아기 기저귀까지 인공지능(AI)가 추천해주는 시대가 도래했다. 기저귀를 착용한 사진을 분석, 최적화된 기저귀 사이즈를 제시해주는 서비스다. AI 시대에 살고 있다는 걸 체감하는 또 하나의 예다.
22일 유한킴벌리에 따르면, 하기스는 아기 체형 정보와 사이즈 만족도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기저귀를 입은 아이 사진 50만장을 학습하도록 했고, 이를 통해 AI 서비스를 선보였다.
[게티이미지뱅크] |
고객이 할 일은 간단하다. 아이 키, 몸무게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한 후, 아이가 기저귀를 입은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한다. 그러면 하기스 AI 피팅룸은 제공된 사진을 통해 기저귀 사이드 패널(하기스 팬티형 적용) 영역을 100개의 데이터 포인트로 나눠 분석, 허리와 허벅지 둘레 등을 측정해 기저귀 사이즈를 추천해준다.
이 서비스를 고안한 건 부모들 사이에서 기저귀 사이즈에 고민이 크다는 점 때문이다. 기저귀가 제대로 맞지 않으면 마찰 등으로 아기 피부에 자극이 있을 수 있고. 넘 헐거우면 소변이 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AI로 기저귀를 분석하는 모습 [유한킴벌리 제공] |
문제는 아기가 급격하게 크는 탓에 알맞은 사이즈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기저귀가 잘 맞지 않으면 다 쓰지 못하고 버리는 일까지 발생한다. 교환된 제품도 위생용품의 특성상 재판매가 용이하지 않다.
유한킴벌리 하기스 기저귀는 전량 대한민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하기스 담당자는 “AI피팅룸 서비스는 개발과 유지에 상당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지만,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호작용하는 하는 과정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과 기업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