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 자살 충동’ 느낀 30대女, 男의 2배…왜 그런가 봤더니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2021년 자살 충동을 경험한 30대 여성의 비율이 동년배 남성의 두배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혼여성의 미취학 아동 돌봄 부담이 가중되면서 일·가정 양립으로 갈등이 심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4일 '코로나 발생 후 젠더적 관점의 여성 정신건강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성인 남성 500명과 여성 700명 등 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코로나19 유행 시기(2020∼2021년)에 자살 충동을 경험한 30대 여성은 32.4%로, 남녀를 통틀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30대 남성이 느낀 자살 충동 경험은 절반 수준인 17.9%로 나타났다.

전체 연령대에서 자살 충동을 느낀 남성(18.2%)과 여성(18.7%)의 비율은 엇비슷했지만, 유독 30대에서 차이가 벌어진 것이다.

연령대별로는 여성은 30대, 20대(23.5%), 40대(21.6%), 50대(14.7%), 60대(11.5%) 순이었고, 남성은 20대(31.0%), 40대(19.1%), 30대, 50대(15.8%), 60대(11.9%) 등이었다.

최근 1년간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음을 의미하는 '우울감 경험률'에서도 30대 여성은 전 계층에서 가장 높은 65.7%로 집계됐다. 동년배 남성은 전 계층에서 가장 낮은 35.9%다.

전체 남성과 여성의 우울감 경험률은 각각 44.0%, 57.4%였다.

코로나19 당시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한 222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고려했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은 것(중복 응답)은 남녀 모두 '경제적 변화'(남성 48.4%·여성 56.5%)였다.

30대 남성과 여성도 각각 64.3%, 66.7%였다.

하지만 주민센터나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정부가 운영하는 정신건강 지원사업의 존재를 인지한 664명 가운데, 이를 이용한 남성과 여성은 각각 17.9%, 16.1%에 불과했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이용 비율은 9.1%, 6.9%에 그쳤다.

정부 운영 기관의 지원을 받지 않겠다고 결심한 이유로는 남녀 모두 '우울감·자살 충동 등 정신적 어려움이 특별히 없어서'(남성 37.2%·여성 27.5%)가 가장 많았다.

두번째 이유로 남성은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잘 몰라서'(21.9%)를 꼽았다.

반면 여성은 '주변 시선이 부담돼서'(20.1%)를 택했다. 남성(9.5%)의 2배가 넘는다.

특히 20∼40대 여성이 지원받지 않으려는 가장 큰 이유로 이것을 든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시기 스트레스나 우울 증상 경험이 30대 여성에게서 유독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기혼여성의 미취학 아동 돌봄 부담이 가중되면서 일·가정 양립으로 갈등 현상이 심화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변 시선이 부담스러워 정부의 정신건강지원센터의 지원받지 않는다는 여성이 남성보다 상당히 많았다"며 "여성이 사회적 낙인을 걱정하지 않는 수준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개발하는 게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