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기업 대표들 “우주항공청, 기존 틀 깨는 데 앞장서야”

경남도가 지난 9일 우주항공청 특별법 통과를 기념해 도청 앞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모형에 '우주항공청 특별법 통과'를 경축하는 문구를 설치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국내 주요 우주기업 대표들이 “우주항공청이 기존 틀을 깨는 것을 앞장서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27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우주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포럼’에서 김이을 쎄트렉아이 김이을 대표는 “16년 전 창업 이후 우주개발 정책을 봤지만, 정부 방향성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웠다”며 “우주항공청 개청으로 방향성이 정립되는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이 개발자 역할을 하기보다 수요자 역할을 하는 게 궁극적으로 나아갈 방향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브라질에서 준궤도 발사에 성공한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우주항공청이 설립돼도 기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했던 것처럼 우주산업을 연구개발(R&D) 영역으로 바라보게 되면 청이 설립돼도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주청은 임무 중심 수요를 도출해 기업이 자율적으로 수익과 사업화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중요하다”며 “기존에는 100㎞ 거리에 화물을 옮기는 차를 정의하고 만들라고 했다면, 지금은 모든 기업이 싸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경쟁하라는 것이 사업화 전환”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지금까지 아쉬웠던 정부 정책의 일관성도 우주항공청을 통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동춘 컨텍 전무는 “우주항공청이 우주 생태계 육성을 위해 기획이나 예산 집행을 독립적으로 하면 좋겠다”며 “인도나 아르헨티나 우주청은 민간 협력 부문을 만들어 의사결정이 빠른데, 우주청에도 이런 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이을 대표는 “현재는 (우주청의 역할에) 국방부와 외교부 등이 포함되기 어려운 구조인 게 현실”이라며 “이번에 만들어지는 게 버전 1.0이라고 보고 이를 빠르게 안정화한 다음 2.0이 어떤 모습일지 논의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