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6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KAIST)에서 열린 2024년 학위수여식에서 축사 뒤 졸업생들을 격려하며 행사장을 떠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이 참석한 대전 카이스트 학위 수여식에서 카이스트 졸업생이 강제 퇴장당한 일을 두고 “백골단이 부활한 것 같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17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카르텔 운운하며 R&D(연구·개발) 예산을 날려놓고는 염치없이 카이스트 졸업식을 찾은 것 자체가 기막힌데 졸업생 입을 틀어막고 사지를 잡아 끌어내나”라며 “윤 대통령의 ‘입틀막’ 정부에서 참담하고 슬픈 시절을 살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소란 행위자를 분리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대통령실의 해명에 대해 “손님이 주인 노릇을 해도 정도가 있다”며 “폭력으로 군사정권을 옹위하던 '백골단'이 부활한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그야말로 공포정치의 극단”이라며 “윤 대통령의 심기를 조금이라도 불편하게 하면 모두 위해 행위인가. 과잉 진압도 아니고, 폭행이자 국민의 기본권 침해”라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대한민국 헌법은 언론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는데, 윤 대통령은 왜 자꾸 국민의 입을 틀어막나”라며 “이러니 시중에 ‘윤두환의 부활’이란 말이 도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대변인은 브리핑 말미에 ‘강력한 리더십은 위압적인 권력 행사가 아니라 국민의 동의 위에서만 가능하다’고 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취임 1주년 특별 대담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개혁신당 양향자 원내대표도 페이스북에서 “R&D 예산을 복원하라고 한 카이스트 학생이 질질 끌려 나가 대한민국 과학기술인들이 공분했다”며 “‘과학기술을 위한다면서 왜 R&D 예산을 깎았는가’라는 외침은 모든 과학기술인의 질문”이라고 했다.
양 원내대표는 “이제라도 그 질문에 답하라”며 “대통령이 끌어내린 것은 한 명의 학생이 아니라 과학기술과 대한민국의 미래”라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