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단체의 집단행동에 의료공백이 커지면서 정부가 23일 보건의료재난 위기 경보를 최상위인 ‘심각’으로 끌어 올렸다.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 시기에도 ‘심각’이 발령된 적은 있지만, 보건의료와 관련해 ‘심각’까지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또 공공 의료기관 진료 시간을 전면 확대해 최대치로 운영키로 하는 한편, 이날부터 비대면 진료도 전면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2면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 회의를 열고 “오늘(23일) 8시부로 보건의료재난 경보단계를 위기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국무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해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특히 “모든 공공 의료기관의 평일 진료 시간을 가능한 최대로 연장하고, 주말과 휴일 진료도 확대해 공공의료기관 가동 수준을 최대치로 올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증·위급환자의 이송과 전원을 컨트롤하는 광역응급상황실을 내달 초 4개 권역에 신규로 개소하겠다”고 밝혔다. 광역응급상황실 4곳을 추가로 열어 응급환자가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취지다.
병원에서 임시·의료 인력을 추가 채용할 수 있도록 중증·응급 환자 최종 치료 수가는 2배로 늘린다. 이와 함께 의료 인력 관련 규제를 풀어 부족한 인력 수요를 채운다.
한 총리는 “병원에 남아 환자를 지키고 계신 의사, 간호사, 병원 관계자 여러분들의 부담을 줄여드려야 한다”며 “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병원 인력의 탄력적 운영이 가능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중증·응급 수술 등 필수 치료가 지연되는 병원의 인력 수요를 파악 중이며, 이곳에 공보의와 군의관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한 총리는 의료계를 향해 “부디 잘못된 선택으로 오랫동안 흘려온 땀의 결과가 한순간에 사라지지 않기를, 또 그런 위험 속으로 젊은 의사들을 등 떠밀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배문숙·김용훈·박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