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난치성 암 정복기술 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진이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헤럴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유전자 돌연변이 등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난치성 암 정복을 가능케 할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이 핵심 바이오 미래 유망기술로 꼽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6일 플랫폼바이오(기초 기반), 레드바이오(보건의료), 그린바이오(바이오농업), 화이트바이오(바이오화학, 환경) 분야에서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선정된 10대 기술에는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플랫폼바이오)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레드바이오)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그린바이오) ▷바코드 미생물(화이트바이오) 등이 포함됐다.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은 수십만 개 이상의 DNA/RNA 분자에 담긴 염기서열 정보를 보다 길게, 높은 정확도로 해독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퀀싱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염색체 단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작성을 가능케 할 전망이다. 특히 모든 신생아의 유전체를 시퀀싱하는 미래 지향적인 프로젝트가 영국과 미국 뉴욕시에서 본격 추진될 예정인 만큼, 정밀의료의 핵심인 개인 유전체 시퀀싱에 대한 수요와 시장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은 해당 기술을 주목하는 또 다른 이유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이 대사, 면역, 뇌신경질환뿐만 아니라 암의 성장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마이크로바이옴을 표적으로 한 항암백신이 레드바이오 분야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되었다. 항암백신의 표적이 되는 신생항원(neoantigen)이 적게 존재하여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일부 난치성 암에 대해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과기정통부 제공]

또한 디지털 전환과 합성생물학 패러다임이 반영된 글로벌 난제 해결 기술들이 선정됐다. 그린바이오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은 유전체 분석 및 AI 기술을 활용하여 더위,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기술로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합성생물학을 응용하여 무해한 미생물에 특정 DNA 서열(DNA 바코드)을 삽입, 이를 통해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출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바코드 미생물’은 제품 유통, 감염병 추적, 법의학 등에 활용 가능한 기술로 화이트바이오 분야에서 선정됐다.

생명연은 최적화된 미래유망기술 발굴 절차를 구축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 방법을 시도해왔다. 특히 2021년부터는 출연연구기관들의 전문역량을 결합하여 객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협력해 위크시그널(Weak Signal) 탐색 모델의 데이터 분석결과를 활용해오고 있다.

노경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고령화, 감염병, 기후변화 등 글로벌 난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정밀/맞춤, 재생, 지속가능이라는 미래비전도 제시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새로운 유망기술 발굴과 전략적 투자 강화는 물론, 글로벌 선도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등 첨단바이오 분야에서 퍼스트 무버형 R&D 기반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