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식 고용장관 “필요시 근로자건강센터 의료진 지역병원에 지원”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8일 서울지방노동청에서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 비상진료대책 긴급점검회의’ 대응 긴급점검회의를 열고 9개 산재병원장들과 화상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의대정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의료기관이 더 분주해졌다. 근로복지공단 산하 9개 산재병원의 응급실 등 필수진료시설을 24시간 ‘풀가동’ 중인 고용부는 필요시 근로자건강센터의 가용한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력을 지역병원에 지원할 방침이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28일 서울지방노동청에서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 비상진료대책 긴급점검회의’ 대응 긴급점검회의를 열고 9개 산재병원의 비상진료대책 이행 현황을 점검했다. 이 장관은 이날 “필요시, 근로자건강센터의 가용한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력을 지역병원에 지원할 수 있도록 지역 보건소와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용부는 전공의 집단근무지 이탈이 시작된 지난 20일부터 근로복지공단 산하의 9개 산재병원의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 필수진료시설을 24시간 가동하는 등 필수의료 공백 최소화를 지원하고 있다. 이 장관은 “평일 일과 후 야간과 토요일 오전 온콜(On-Call) 대기를 통해 긴급상황 시 환자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인근 대학병원·보건소·시청 등 관내 유관기관과 연계해 병상 수와 의료진 이탈 현황 등을 지속적 공유하고 있다. 전공의 집단근무지 이탈이 8일째 지속되면서 산재병원의 환자 이송·전원 실적도 크게 늘었다. 실제 지난 20일 7건에 불과했던 이송·전원 건수는 26일 12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수도권 대비 인프라가 부족한 태백·정선·동해 등 강원지역의 이송·전원 건수가 20건으로 전체 25건의 80%를 차지했다.

이 장관은 “산재병원과 같은 공공의료기관은 의료계 집단행동 국면에서 국민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라며 “근로복지공단은 지속적인 현장점검을 통해 병원의 비상진료체계 시행 현황을 지속 확인하고, 현장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적극 수렴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을 떠난 의료진들은 조속히 환자의 곁으로 돌아와 주길 바란다”며 “정부는 진료 정상화 이전까지 비상진료대책 시행 등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