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최근 농축산물 물가와 관련, 긴급 기자 간담회를 열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는 사과 가격 급등세가 햇과일 출하 전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재배면적이 30%가량 줄어 사과 가격 급등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지난달 사과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70%이상 올랐다.
정부는 비상 수급안정대책반을 가동해 품목별 수급 및 소비자가격 동향과 물가안정 대책 추진 상황을 매일 점검하는 등 장바구니 물가 잡기에 모든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열린 기자간담회를 주재하고 “최근 물가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물가 안정을 위한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다만 생산량이 30% 정도 줄어 가격이 치솟은 사과와 배에 대해서는 "햇과일 출하 전까지 가격 강세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지난달 사과와 귤 가격이 작년보다 70% 넘게 급등하고 신선과일이 32년 만에 최고인 41.2% 치솟아 과일 물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농식품부는 급하게 일정을 당일에 통보하고 이례적으로 예정에 없던 간담회를 열었다.
사과는 1월에 56.8% 오른 데 이어 2월에는 71.0% 급등했다. 사과 가격 상승의 원인은 이상기온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다. 봄철 저온 피해로 착과수가 줄었던데다가 여름철 집중 호우, 수확기 탄저병 발생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생산량이 30% 급감했다.검역 문제로 수입이 원활하지 않은 사과의 특성상 다음 수확 철까지는 ‘사과가 금값’인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송 장관은 "기상재해로 사과·배 생산이 전년보다 30%가량 감소하면서 다른 과일과 농산물의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면서 "2월에 비가 자주 오고 일조량도 평년보다 40% 이상 감소해 시설채소를 중심으로 가격이 많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국민 과일'인 사과의 경우 조생종인 츠가루(아오리)가 7월 말 정도부터 출하된다. 이에따라 앞으로 4개월 이상 '금사과'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명절 성수품 공급이 평시의 2배 넘는 수준으로 늘어나 설 이후 사과·배 저장 물량은 다소 부족한 상황이라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송 장관은 사과를 수입해서 가격을 떨어뜨릴 수는 없느냐는 질문에 "작년 사과 작황이 나빠 올해 가격이 높다고 바로 사과를 수입해 효과를 낼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과는 11개국과 검역 협상 진행 중이고 8단계까지 협상이 진행돼야 수입할 수 있다. 가장 진도가 많이 나간 일본이 5단계까지 와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송 장관은 또 "농산물 수입 절차는 전 세계 공통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뉴질랜드로 우리 감귤을 수출하는 데 27년이 걸렸다"면서 "우리 사과 시장을 보호하려고 일부러 (검역 협상을) 늦추는 게 아니라는 걸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할인을 반영한 사과·배 소비자가격은 통계청 소비자물가 통계만큼은 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전날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에서 작년 동월 대비 사과는 71.0%, 배는 61.1% 각각 상승했지만, 정부·유통업체 할인을 반영한 소비자가격(aT 조사)은 사과는 27.3%, 배는 41.8% 각각 올랐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한훈 차관 중심으로 비상 수급안정대책반을 가동해 품목별 수급 및 소비자가격 동향과 물가안정 대책 추진 상황을 매일 점검할 계획이다.
송 장관은 "3월부터는 기온 상승, 일조량 증가 등 기상 여건이 개선되고 출하 지역도 점차 확대돼 시설채소를 중심으로 농산물 수급 상황이 2월보다는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빠르게 완화하기 위해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자원을 총동원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