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장애인의 새로운 직업재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이 손을 잡았다.
보건복지부는 14일 서울 영등포구 이룸센터에서 한국장애인개발원, ㈜BGF리테일과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장애인편의점 시범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편의점을 중증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신규업종으로 개발하기 위해 공공과 기업이 협력하자는데 뜻을 모았다.
복지부와 한국장애인개발원은 편의점 운영기관을 선정하고 고용확장성, 직무적합성 등의 평가 및 직무 매뉴얼 개발을 담당한다.
㈜BGF리테일은 상권분석, CU직업체험관과 연계한 직무훈련 등 전문적 지원과 시범사업 가맹점포에 대한 가맹비 면제, 인테리어, 수익배분 우대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증장애인들은 편의점에서 근무하며 상품 진열, 소비기한 확인, 입고상품 운반 및 매장 내 청결 유지 등을 주로 하게 된다.
업무 숙련도가 향상되면 고객 응대 및 계산업무도 맡게 될 예정으로, 직무 관련 사항들은 매뉴얼을 만들어 전국적 확산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윤순 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중증장애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자신의 직업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업종 발굴과 직무 개발이 필요하다”며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공공과 민간이 연계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카페 특화사업을 운영하며 업종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BGF리테일은 장애인 직업훈련과 고용선도를 위해 발달장애인 CU직업체험관을 전국 7개소에서 운영하는 등 맞춤형 현장실습처 제공, 발달장애인 CU 희망스태프 38명 채용 등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