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7%’ 저축은행 부동산PF…업계 “매각 노력에도 성과 충분치 않아 고민”

[연합]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저축은행업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7%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경·공매 절차를 통해 대출자산을 매각하면서 연체율 관리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있지만, 저축은행업계는 시장 매수자가 많지 않아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저축은행중앙회는 ‘2023 저축은행 결산결과’ 간담회를 열고 현재 업권 경영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6.55%로, 전년 말(3.41%) 대비 3.1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이 8.02%로 같은 기간 5.12%포인트나 급등했다.

기업대출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6.94%로, 2022년 말(2.05%)보다 4.89%포인트 껑충 뛰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이에 대해 “경기침체시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서민과 중소상공인 대상 대출을 많이 취급하다보니 상황이 어려워졌다”면서도 “저축은행 사태가 있었던 2011년에 비하면 (연체율이)절대 높지 않다”고 했다.

그는 또 “기업대출은 대부분 다 담보부 대출로 땅이나 집을 담보로 하고 있다”며 “매각시장이 활발하지 않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업권이 연체율을 낮추려면 보유한 대출채권을 유동화전문회사(NPL)회사에 매각해야 한다. 하지만 가계대출 채권의 경우 불법 추심을 하지 못하도록 정부가 보호하고 있는 데다, 기업대출 또한 시장에서 기존보다 더 낮은 가격을 원하고 있어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짚은 것이다.

오 회장은 이날 질의응답에서 “자산운용사 등은 시장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하거나, 해당 사업장을 개발해 이익을 보려면 채권을 더 낮은 가격에 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저희 입장에선 예금자 예금을 기반으로 한 대출이므로, 가능한 손실을 줄여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2000억원 짜리 펀드를 5개 정도 만들어 진행하고 있고,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전체적으로 매각과 관련한 부분은 저축은행만의 문제가 아닌 2금융권 전체가 비슷한 흐름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저축은행중앙회 제공]

향후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추가 적립 필요성에 대한 업권 입장도 나왔다. 부동산 PF 대출의 경우 사업성 평가에 따라 추가로 건전성이 분류될 경우 저축은행업권은 추가 충당금을 쌓거나, 자산을 매각해 연체율 관리에 나서야 한다. 저축은행업권이 쌓은 충당금 전입액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3조8731억원으로, 전년 말(2조5731억원) 대비 1조3000억원 불었다.

오 회장은 “충당과 관련한 부분은 속도가 가장 중요하다”며 “저축은행 입장에선 체력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했다.

업권 전반의 연체율 하락과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해선 결국 정부 차원에서 시장과 업권의 가격 이견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자금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오 회장은 “여태까지 채권시장·주식시장에서 큰 변화가 있어 피해가 일어났을 경우 대부분 안정화 펀드를 만들어 시장의 연착륙을 이끌어왔던 것처럼 그런 지원도 필요하지 않나 제안하고 싶다”면서 “PF 사업의 경우 멈춘 것들이 상당히 많다. 어느 정도 물꼬가 터져 할 것은 하고 사업성이 나쁜 것은 정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병주 저축은행중앙회 상무 또한 “지금도 캠코가 정상화 펀드 등을 조성해 지원하고 있고 우리 입장에선 이러한 기능이 조금 더 확대되면 질서 있는 연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저축은행업권은 지난해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8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이자 비용이 2조4000억원 증가했지만 이자 수익은 1조1000억원 늘어난 데 그친 영향이다. 다만 유동성 지표는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79개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 규제비율(BIS비율)은 14.35%로 법정기준(자산 1조원 이상 8%, 1조원 미만 7%)의 약 2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동성 비율 또한 지난해 기준 192.07%로 규제비율(100%)을 상회하고 있다. 대손충당금적립률 또한 113.89%로 법정기준(100%) 대비 13.89%포인트를 초과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