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통령이 결자해지해야…전공의들과 만나달라”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연합]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의료공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 전공의들과 만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협 비대위는 27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날 정례브리핑에 참석한 김택우 비대위원장은 “현재의 의료공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병원을 떠나있는 전공의들이 조속히 해당 소속 병원으로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강구해야한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이해당사자인 전공의들과 만나 현 상황의 타결을 위한 협의를 진행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해달라”라고 촉구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지난 2월 6일 정부의 의대 증원 2000명 추진 발표는 전공의들의 자발적 사직을 촉발시켜 지금과 같은 의료공백 상황을 불러일으켰으며 지난 25일부터는 의대 교수님들까지 자발적 사직서 제출을 하고 있어 악화일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이 길어지면 당사자인 전공의는 물론 진료를 받지 못하는 국민의 피로도도 가중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의사 증원 추진과 관련한 정부와 의료계의 첨예한 입장 차이를 줄이기 위해 최근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등 여러 의료계 직역과 정부 간 협의가 이뤄졌지만 가시적인 진전을 도출하지는 못했다”면서 대통령이 직접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정례브리핑 이후 질의응답에서 김성근 의협 비대위 부대변인은 “현 사태를 ‘결자해지’ 하려면 의대 증원이라는 결정을 하신 분께서 그 결정을 철회해달라는 뜻”이라며 “그런 전제 조건 하에서만 대화를 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현택 의협 차기 회장과 의협 비대위의 관계에 대한 질의에는 “의협 비대위는 의협 대의원회에 의해 구성됐다”면서 “신임 회장과 비대위의 관계(설정)는 대의원회 운영위원회에서의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의협 비대위는 오는 31일 오후 3시에 의협 회관에서 향후 행동 방향에 대한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