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 임차인 A씨는 은행에서 전세대출 기한 연장을 신청하던 중 임차주택에 신탁등기가 설정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A씨는 임대차계약에 대한 수탁자(신탁사)와 우선수익자(금융사)의 사전 동의서가 누락돼 기한 연장이 곤란하다는 은행의 답변을 받았다. A씨의 민원을 받은 금융감독원은 임차인은 임대차계약에 대한 수탁자·우선수익자의 동의를 첨부해야 하고, 은행도 임차인에게 이를 안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8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민원 사례를 토대로 은행 대출 이용 시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우선 A씨 사례처럼 전세대출을 받을 때 임차주택에 신탁등기가 설정되어 있다면 신탁회사의 동의 여부 등 대출요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경우 기준금리 변동으로 인해 조회 당시 금리와 대출 실행일 적용금리가 달라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주담대를 받은 지 3년 후 대출금을 상환하는 경우에도 대출금액을 증액했다면 중도상환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
이는 대출금액을 증액하는 경우 기존 계약과 사실상 동일한 계약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금리 등 주요 내용의 변경이 없는 재약정이라면 사실상 동일한 계약으로 볼 수 있지만, 대출금액이 기존 계약보다 5000만원 이상 증액되면 신규 계약에 해당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그밖에 해외 체류기간 중 대출만기가 도래하는 경우에는 만기연장 여부를 미리 확인해야 연체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고 금감원은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