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퇴직 중장년층, 재취업 때는 ‘단순노동’에 몰려…인적자원 활용 한계”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중년기 이후에는 분석 직무보다는 육체적 단순노동 일자리에 종사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는 등 취업자 연령별로 직무 구성에 차이가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향후 노동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장년 인력의 고용 비용을 높이는 연공서열형 직무체계 대신, 내용·성과에 따른 임금 체계로 직무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직무 분석을 통해 살펴본 중장년 노동시장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KDI 제공]

연구는 중장년 인력이 노동시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직무를 5가지(분석·사회·서비스·반복·신체)로 분류하고 1998∼2021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해 연령대별 변화를 회귀분석했다.

남성 취업자(20~75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분석, 사회, 서비스 직무 성향은 낮아지고 반복적인 신체 직무 성향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직무 성향은 30대 취업자에서 가장 높았고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다가 50대 이후에 감소폭이 커졌다. 연령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저숙련·저임금 일자리에 종사한다는 의미다.

이런 변화는 실직·퇴직 이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겪는 ‘직무 단절’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50세 미만 연령대에서 이직한 경우에는 분석 직무 성향이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기도 했으나, 50대 이상 연령대에서 이직할 때는 분석 직무 성향이 크게 하락했다.

여성은 남성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성을 보이면서도 출산·육아에 따른 경력단절로 분석 직무 성향이 낮아지는 시점이 30~40대로 남성보다 빨랐다.

김 연구위원은 “나이가 들수록 업무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이 아니냐는 의문이 들 수도 있지만 개인 생산성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해 도출한 결과임을 고려할 때 단지 생산성 차이에 기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석이나 사회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이 있는데도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일자리에 채용되지 못하는 중장년층 근로자가 존재한다는 뜻”이라며 “현재 노동시장에서 중장년층이 보유한 인적자원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중장년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중장년층에 대한 수요를 억제하는 과도한 연공서열형 임금 체계 대신, 재직기간보다는 직무의 내용과 성과에 따른 임금체계를 확대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법정 정년 이전에 생애 주직장에서 조기퇴직 하는 근로자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법정 정년 연장의 실효성은 낮을 것으로 본다며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에서는 남성·여성 취업자 간에 상당한 수준의 직무 성향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육아기인 30~40대에 여성이 생산성 낮은 일자리로 이동하면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위원은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 가족 친화적인 근로환경 조성을 통해 생산성 높은 일자리에 여성이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