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한국거래소가 기술특례 상장예비심사 지연을 해소하기 위해 바이오, 정보통신기술(ICT),제조업 등 심사가 집중되는 3개 업종을 전담하는 팀을 꾸린다. 심사가 접수된 뒤 아직 착수하지 못한 예비 상장사들을 집중적으로 심사하는 태스크포스(TF)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27일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 및 시행’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홍순욱 코스닥시장본부장은 “기술특례상장 신청 증가와 이에 따른 지연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경향성 보이며 지속될 것으로 판단하고 적극 대응하고자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기술특례상장은 올해 4월 기준 상장예비심사 가운데 47.2%(17개사)를 차지한다. ▷2021년 36.4%(48개사) ▷2022년 36.9%(45개사) ▷2023년 43.6%(58개사)로 기술특례상장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기술특례상장 신청 기업은 심사절차 상 전문가 회의 등 일반기업 대비 추가 절차가 필요하고, 재무성과와 같은 단순명료한 판단기준 적용이 곤란해 심사에 장기간이 소요된다.
거래소는 우선 상장심사를 신청한 기업 가운데 기술특례 기업과 일반 기업을 분리해 전문성을 강화하면서 심사 속도를 올린다는 구상이다. 특히 기술특례를 담당하는 기술기업성장부는 3개 팀으로 나눠 집중도를 높이고 산업 특성에 맞게 심사기준을 수립한다. 기술심사1팀은 바이오, 2팀은 ICT서비스, 3팀은 제조업(소부장)으로 나뉘며 각각 4명씩 배치된다.
심사 지연을 막기 위해 별도 태스크포스(TF)도 운영할 방침이다. 심사 신청 후 아직 심사하지 못한 기업들을 전담해 적체를 해소하겠단 목표다. 거래소 내 인원 가운데 직전 심사 경험이 있는 전문인력 3~6명 수준으로 꾸릴 계획이다.
심사 초기에 장기화 가능성이 있는 이슈를 사전에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주관사와 사전협의를 활성화한다. 홍 분부장은 “코스피 시장의 경우 실무자가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주관사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통해 이슈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먼저 해결하고 신청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코스닥시장은 신청을 해놓고 다음에 이슈를 해소하는 사례가 많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상장 전 중요사항을 누락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보완책 마련도 구상 중이다. 홍 본부장은 “기업에서 스스로 밝히지 않는 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제출한 자료만 갖고 판단해야하는 것이고 제출한 자료가 진실성 있는지 없는지 까지 심사할 순 없다”고 현실적 한계를 인정했다. 다만 의견수렴을 통해 보완 체크리스트를 만드는 등 방안 검토 계획을 밝혔다. 관련해 다음달 투자은행(IB)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거래소는 심사지연 해소를 위해 절차를 효율화하고 지속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