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이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브리핑실에서 8월 수정 경제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 [연합]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내수가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소폭 낮췄다. 고금리 상황이 예상했던 것보다 길어지면서 내수가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내수 부진에 따라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기존보다 0.2%포인트(p) 내려 잡았다. 다만 수출은 기존 전망보다 더 강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KDI는 올해 한국 경제가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5월 전망치(2.6%)보다 0.1%포인트(p) 하향 조정된 것이다. 이는 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와 같고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2.6%보다는 낮다.
수출 전망치는 상향 조정됐지만 내수 눈높이는 낮췄다. KDI는 반도체 경기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강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메모리를 중심으로 반도체 거래액 전망치가 대폭 상향 조정됐다는 것이다. 이에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율이 기존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고, 올해 수출 증가율을 기존 5.6%에서 7.0%로 1.4%p 높였다.
반면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면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회복은 늦춰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민간소비는 기존 전망(1.8%)보다 낮은 1.5% 증가할 것으로 수정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경기·물가 상황에 맞춰서 금리가 조정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금리 인하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지연되는 상황"이라며 "2분기에 고금리의 부정적 영향이 강했던 측면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경기 호조세가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기존 전망(2.2%)보다 크게 낮은 0.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의 파급이 제한적 수준에 그치며 기존 전망(-1.4%)에 비해 감소 폭(-0.4%)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는 기존 전망(703억달러)보다 흑자 폭이 확대된 77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1%를 유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4%로 제시됐다. 기존 전망(2.6%)보다 0.2%p 낮은 수준이다.
내수 부진과 함께 최근 중국과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유가 하락을 반영했다는 게 KDI의 설명이다. 올해 원유 도입단가 전제도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85달러에서 82달러로 낮아졌다.
KDI는 얼어붙은 내수가 고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서비스업 중심으로 축소되고 있다며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을 기존 24만명에서 20만명으로 하향 조정했다. 실업률은 2.8%를 유지했다.
앞으로 위험 요인으로는 대외 여건을 꼽았다 중동 지역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거나 중국·미국의 경기가 급락하는 경우 우리 경제도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다.
다만 KDI는 경착륙 시나리오보다는 "중국과 미국의 경기가 점진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미국 경제의 급락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가 주식시장 이외에는 많지는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올해 말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경우 한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불거진 '인공지능(AI) 거품론'과 관련, 정 실장은 "단기적인 반도체 사이클인지, AI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안 좋을지 차이에 따라서 경제전망에 다르게 반영될 것 같다"고 했다.
대내적으로는 물가상승세 둔화에도 고금리 기조가 길어진다면 내수 회복이 더 더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민생회복지원금법(전국민 25만원 지원법)은 실제 시행 여부가 불투명해 이번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KDI는 밝혔다. 정 실장은 "만약 집행되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1%p 정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 같다. 내수를 통해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현재 상황에서는 금리는 낮추고 재정지출은 억제하는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충분히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가 내수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이번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