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의 직무몰입도는 국제적으로 최하위 수준으로, 성과나 생산성에 상관없이 임금과 복지를 과도하게 상승시켰기 때문입니다” (윤정구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사진)는 2일 ‘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주제로 정기간행물 ‘임금·HR연구’ 2024년 하반기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임금·HR연구는 국내외 기업의 인사·조직, 임금제도 관련 최근 이슈를 특집주제로 선정하여 학계 및 현장전문가의 견해와 선도기업 사례를 전달하는 자료다.
경총은 저성장, 저출생·고령화, 디지털 전환 등 대변혁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특집주제를 ‘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으로 잡았다. 이를 통해 인사관리 전반의 대응전략을 살펴보고, 국내외 기업 사례를 소개하는 데 주력했다.
먼저 윤정구 이화여대 교수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로몰입도 급감 이유를 ‘임금과 복지의 과도한 상승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윤 교수는 “2023년 갤럽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업무에 몰입한 근로자 비율이 12%로 125개국 중 107위, 몰입도가 심각하게 낮은 근로자 비율이 65%로 125개국 중 54위에 해당하는 등 근로자의 직무몰입이 국제적으로 최하위 수준”이라며 “기업의 노동생산성이 제자리임에도 평균임금을 상승시킨다면 임금발 인플레이션의 직격탄을 맞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일터의 주요 구성원으로 떠오르고 있는 MZ세대는 물질적 성공, 일을 통해 얻는 성취와 의미 모두를 중시한다”면서 “이들의 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공정한 보상과 함께 일하는 과정에서 마음껏 실험하고 실수하며 성과를 내는 방법을 터득하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은연 실리콘밸리 HR 포럼 회장은 ‘생성형 AI(인공지능)’의 활용이 노동력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분석한 글을 썼다.
윤명훈 원티드랩 실장은 업무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효과적인 근태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봤다. 김동욱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는 기업들이 저성과자에 대한 적극적인 인사관리 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김성진 딜로이트컨설팅 파트너는 전통적인 생산성 지표를 넘어서 새로운 성과관리 지표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사례연구에서는 상사와 부하의 ‘정기적 원온원’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인 SK하이닉스의 사례와 직원 의견조사 ‘마이보이스’를 통해 직원 몰입도 및 조직문화를 제고하고 있는 SC제일은행의 사례가 상세하게 다뤄졌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산성 향상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정한 평가 및 임금체계 구축, 비효율적 업무 프로세스 개선, 근로자 업무 몰입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시급히 강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