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장관 “수산분야TF로 기후위기 대책 마련…김 가격 안정, 10월 햇김 생산 주시”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기후 변화에 따른 어종·수산업 환경 변화 등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 합동 태스크포스(FT)를 본격 가동하고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최근 재고부족으로 가격이 뛴 김에 대해서는 내달 햇김 생산이 본격화하면 수급과 가격 안정시기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강 장관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올해 하반기 중점을 두고 추진할 업무로 ‘기후위기 대응’을 첫 손에 꼽았다.

그는 “수산분야를 중심으로 어종 변화에 대응한 양식산업 개편, 기후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수급 안정화, 재해 피해 대응, 규제 개선 등의 내용을 담아 종합 대책을 마련하겠다”면서 “수산분야 기후변화대응 관계기관 합동 TF를 구성했고 결과물이 나오는 대로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기후위기 대응에 더해 ▷‘찾고 싶고, 살고 싶은 바다 생활권’ 조성 ▷해양수산 미래 성장동력 창출 ▷장바구니 물가 안정 등도 주요 추진 과제로 언급했다. 그는 “대표 과제인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은 하반기 사업 대상지역 선정을 위한 공모를 추진하고, 내년부터 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를 지원할 것”이라며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내년 예산안에는 총 18개, 602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신규사업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가격이 크게 오른 김의 수급 관리와 관련해서는 “10월 햇김을 생산하면서 경쟁국인 일본·중국과의 비교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내년에 얼마나 확대할 것인지, 가격 조건은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주변국의 김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우리 김에 대한 수요가 늘고 가격도 오른 만큼 전반적인 상황을 살핀 후 생산자·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방안을 도출해내겠다는 게 강 장관의 설명이다.

강 장관은 또 전남 해남-진도 어민 간의 마로(만호)해역 김양식장 어업권 분쟁이 합의로 해결된 만큼 김 생산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도 내다봤다. 정부가 7월부터 신규 개발 중인 김 양식장(2700㏊·1㏊는 1만㎡)에 더해 마로해역 일대(1370㏊)에서도 생산물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최근 정부가 ‘김 비축’보다는 ‘계약재배’에 무게를 둔 배경에 대해서는 ‘2007년 김 파동’의 교훈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2007년 김 파동 당시 정부가 김을 사들였는데 품질이나 지자체별 쿼터 등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많이 생산돼 품질이 낮았고, 내수에서도 홀대받고 수출도 할 수 없었다”면서 “이런 전철을 다시 밟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축보다는 기업·가공업체와 어촌계 간 계약을 통한 수급체계를 갖추면 생산도 보장되고 판매도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 예산 ‘낭비 논란’과 관련해서는 “국민 건강·안전을 생각한 것을 어떻게 불필요하다고 하겠는가”라며 “(예산) 1조6000억원은 2022년에 편성된 것과 다시 편성된 것 등이 총액 베이스로 언급된 것으로 보이며 해양 현안이 한 두개가 아닌 만큼 전반에 걸쳐 투자해야 할 것이 많은데 그런 부분에서 좀 아쉽다는 측면에서 얘기가 나온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추후 더 많은 예산을 확보해야 할 사업으로 ▷해양쓰레기 수거 ▷어선 감척 ▷수산직불금 확대 ▷여성 어업인 지원 등을 꼽았다. 그는 “여성 어업인이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데 건강검진 사업과 동반돼야 할 어촌복지버스 사업이 삭감됐다”면서 “가임기에 있는 해녀가 지원금을 통해 아기도 낳고 기를 수 있게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