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운용중인 6천톤급 물리탐사선 탐해3호.[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배는 만들었는데 전용 계류장이 없어서 정박료만 월 3천만원 이상을 내고 있다.”
6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지난 5월 말 진수한 최첨단 물리탐사선 ‘탐해3호’가 전용 계류장(배가 정박하는 곳) 구축이 지연되면서 매달 수천만원을 추가로 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륙붕, 대양, 극지 등 전 세계 해역에서 해저 자원탐사를 할 수 있는 탐해3호는 국내에서 최초로 제작한 6천톤급 탐사선으로 총 181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탐해3호는 특수목적으로 위해 제작된 쇄빙선인 아라온호와 비슷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바다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국내 항구로 돌아와서 주차하는 개념인 계류장도 필요하다. 기존 탐해2호보다 3배 이상 크기 때문에 배를 정박하기 위해서는 수심이 최소 8m이상 되어야만 한다.
지질자원연구원은 당초 올해 초까지 총사업비 178억원을 투입해 포항시 북구 항구동 일원에 ‘지질탐사선 부두’ 확장 공사를 완공할 예정이었다. 이를 통해 기존 정박부지 약 3840㎡를 4661㎡으로 확장하고, 배가 들어와서 회항 후, 다시 돌아나갈 수 있도록 부두를 전면 확장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계류장은 그동안 설계와 기술 및 건설사업관리용역을 마치고 지난해 초 시설공사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었지만 지난해 초 포항 지역 어민회가 피해 발생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하면서 아직 첫 삽을 뜨지도 못했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이 같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난항을 겪게되자 ‘어업피해영향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5월 시뮬레이션 결과 어업피해가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돼 주민들에게 피해 보상 약정 체결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우여곡절 끝에 봉합은 됐지만 향후 논란의 불씨가 되살아날 수도 있다.
지난 5월 31일 열린 ‘최첨단 3D/4D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취항식’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포항에 계류장을 만드는 것은 해당 지자체의 적극적 구애로 인해 진행됐는데 사업 착수 전 지자체가 먼저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 진행했다면 이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계류장 공사는 결국 약 1년 반 이상 늦어졌고 이번달 착수할 예정이다. 아무리 빨리 공사를 진행해도 완공은 내년 초는 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가급적 올해안에 계류장 공사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탐해3호는 부산 한진중공업에 보관하고 있다. 탐해3호의 한달 정박료는 3000만원 이상이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이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올해 배정된 탐해3호 운영비에서 사용하고 있어 자칫 다른 연구에도 차질을 빚게 될 우려도 제기된다.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해당 지자체와 연구원이 안일한 행정으로 인해 국민혈세가 또 낭비되고 있는 형국”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