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케즘, LFP 빠른 대응과 전고체 배터리 빠른 도입 필요”

이존하 SK온 부사장 'KABC 2024' 발표. [연합]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 방안 중 하나로 ‘차세대 배터리’가 거론되는 상황에서 국내 배터리업계가 가격졍쟁력 높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해 가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LFP 배터리는 중국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이같은 격차를 해소하는 동시에,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를 앞세워 초격차 우위를 이어간다는 복안이다.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은 24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이차전지 전문 콘퍼런스 'KABC 2024'에서 주제발표에서 “중저가 제품, LFP 배터리 등에 대해 좀 늦은 상황이기는 하다”라면서도 “연구능력, 기술력으로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수한 제조 경쟁력과 초격차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어려운 상황을 준비한 대로 잘 해결해가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고 부사장은 “내연엔진 차량이 5분 주유로 450∼650㎞의 주행 거리를 확보하는 것과 비교해 전기차는 고성능 차량의 경우 26분 충전에 413㎞ 수준의 주행이 가능해 성능 면에서 불편함이 있다”면서 “전기차의 목표는 내연엔진 차량이 돼야 한다”고 운을 띄웠다.

이어서 “내연엔진 차량과 같은 주행거리를 만들려면 팩을 작고 가볍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더불어 고체 전지는 안전하고 팩이 가벼워 자동차 무게를 줄이고 자동차 출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기에 오는 2027년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존하 SK온 부사장은 “LFP는 이미 개발돼 있고, 코스트(가격)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보완할 것이 있어 그 부분을 보고 있다”면서 “최종적으로는 코발트가 없는 '코발트 프리' 배터리를 생각하고 있다. 에너지 밀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전압을 높이는 게 주 방향이라 여기에 맞춰서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부사장은 “현재는 주행 거리도 중요하지만 급속 충전, 안전성 측면도 중요하며, 보조금 축소, 폐지 등으로 가격적인 요구가 있다”고 덧붙였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