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 [연합] |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가 한의대 졸업생에게 추가 교육을 통해 지역 공공 의료기관 근무에 한정하는 의사 면허를 부여하자는 제안을 한 가운데 임현택 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이참에 한의사 제도를 폐지하자"고 날을 세웠다.
임현택 회장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우리나라를 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한의사를 의사로 인정하는 나라는 단 한 나라도 없다"면서 이같이 반박했다.
임 회장은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국민 건강에 유익하다고 (OECD 국가 중)어느 나라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며, "이참에 한의사 제도는 국민건강을 위해 또, 국제 표준에 맞게 폐지하는게 진정한 국민을 위한 의료개혁이다"라고 주장했다.
![]() |
윤성찬 대한한의사협회 회장이 지난달 30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의사 추가 교육을 통한 의사 부족 조기 해결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 |
이어 "이제는 본인들 조차 자신들의 정체성에 혼란스러워 하는 한의사 제도 폐지를 공론의장에서 진지하게 논의할 시점이라고 생각하다"고 덧붙였다.
임 회장은 또한 하태경 전 국민의힘 의원이 전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의료 사태와 관련한 해법으로 한의사들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데 대해 "이 분 참 한없이 무식하다"고 하 전 의원을 겨눴다.
하 전 의원은 "독점이 가장 큰 문제다. 병폐다. 의대 독점을 깨는 한 방법 중에 일본 사례를 보니까 한의사들이 의대 학점을 교류 하더라"며 "한의사들도 60~70%는 일종의 현대의학을 공부한다"고 했다. 그는 "(한의사 활용 방안이)협상에 나갈 수 있는 레버리지는 될 수 있다. 의사들이 '우리한테 굴복하지 않으면 다른 방법이 없다' 이렇게 버티고 있는데 다른 방법이 있다는 걸 자꾸 알려줘야 의사들도 좀 양보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했다.
이와 관련 임 회장은 "일본은 1879년에 한의사 제도를 폐지해서 한의사라는 게 아예 없다. 그런데 뭘 교류를 한다는 건가"라고 물었다. 또 "세계 모든 나라에서 의사의 자격과 질을 엄격하게 관리하는건 의사의 독점적 이익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며 "돌팔이가 환자 죽이는 걸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앞서 윤성찬 한의협 회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의사 추가교육을 통한 의사 부족 조기 해결방안' 기자회견에서 "경희대, 원광대 등 의대와 한의대 모두 개설된 5개교에서 한의사에게 2년 더 가르쳐 의사 면허를 부여해달라"며 "의사 부족 사태 해결을 4~7년 앞당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필수 의료과목 수료와 공공의료기관 의무 투입을 전제로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