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성과가 게재된 국제 학술지 ‘에너지 환경과학’표지 [KAIST 제공] |
열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키는 열전 소자는 버려지는 폐열을 활용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1700%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열전소자를 개발했다.
KAIST는 문홍철(왼쪽)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박태호(오른쪽) 포항공대(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열역학적 평형 조절을 통한 기존 N형 열전갈바닉 소자의 성능 한계 극복 기술을 구현했다고 14일 밝혔다.
열전 소자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P형과 N형 소자의 통합이 필수적이다. 최근 우수한 성능을 지닌 P형 열전 소자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됐지만 N형 열전 소자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다. 그마저도 N형 열전 소자는 P형에 비해 성능이 떨어져 통합형 소자 구현 시 성능 밸런스가 맞지 않아 성능 극대화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스스로 산도(pH) 조절이 가능한 젤 소재를 개발하여 이온을 주요 전하운반체로 사용한 이온성 열전 소자 중 한 종류인 열전갈바닉 소자를 구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젤 소재를 활용하여 열역학적 평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고성능 N형 열전 소자 특성을 구현했다.
개발된 젤 소재는 가역적 가교 결합을 기반으로 약 1700%의 우수한 신축성과 함께 상온에서도 20분 이내에 99% 이상의 높은 자가회복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설계됐다.
이 같은 우수한 성능을 바탕으로 손목에 부착된 소자는 몸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체온과 주변 환경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에너지 생산에 성공했다.
문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기존 N형 이온성 열전 시스템이 갖고 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이는 체온을 활용한 전원 시스템 실용화를 앞당기고, 웨어러블 소자 구동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에너지 환경과학’11월 7일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구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