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 찾는 인공지능(AI) 전화 초기상담 시행
[123RF]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보건·복지 분야에도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가 잇따라 선을 보이고 있다. 서비스 이용자의 수요를 파악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장 담당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25일부터 초거대 AI를 활용한 ‘금연길라잡이 AI검색요약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 해당 서비스는 국내 공공 보건분야 최초로 초거대 AI를 적용한 대민서비스로, 시범운영기간을 거쳐 2025년 5월 정식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금연길라잡이 AI검색요약 서비스’는 자체 확보한 흡연예방과 금연 관련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질문 의도를 이해하고, 핵심 내용을 요약해 준다.
특히, AI가 부정확한 정보를 생성하는 환각현상(Hallucination)을 줄이고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검색증강생성(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적용했다.
해당 서비스는 이용자가 담배규제정책과 법률, 흡연의 위험성, 효과적인 금연방법 등에 대해 궁금한 점을 질문 형태로 입력하면, 즉시 요약된 정보를 제공한다.
방대한 자료를 일일이 찾아볼 필요 없이, 질문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연길라잡이 누리집에 접속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김헌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원장은 “금연길라잡이 AI검색요약 서비스로 방대한 금연 정보를 국민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용자 후기를 환류해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금연길라잡이 AI검색요약 서비스 화면 |
복지부는 또 25일부터 전국 229개 시군구에서 어려움을 겪는 위기가구를 찾기 AI 전화로 초기상담을 시행한다.
앞서 복지부는 AI 활용 초기상담 정보시스템을 올해 5월 구축하고, 7월부터 11월 중순까지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했다.
시범운영 기간에 위기가구 중앙 발굴 대상 20만1323명 중 51%인 10만2374명에 AI 초기상담을 적용해 위기가구 발굴·지원 현장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현재는 위기 의심 가구에 대해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공무원이 일일이 초기상담 전화로 복지위기와 복지수요를 파악한 후 심층상담과 가구방문을 통해 사회보장급여나 민간서비스 연계 등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는 초기상담 단계에서 시스템으로 해당 가구에 전화를 걸어 건강경제고용돌봄위기 관련 공통 질문 후 위기정보 관련 추가 질문을 진행하는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담을 진행한다.
이스란 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인공지능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가구의 복지욕구를 빠르게 파악하는 등 일선 복지업무 효율성을 높여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I 활용 초기상담 운영 홍보 리플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