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선도 ‘CCS’, 트럼프 수혜 기대감

‘脫친환경’ IRA 축소 예고하지만
CCS 보조금폐지 ‘확률 낮다’ 관측
韓 탄소중립 계획서 CCS 비중 높아
SK·포스코·삼성·GS 수혜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탈(脫) 친환경 정책 노선을 내세우고 있지만 탄소 포집·저장(CCS) 분야에 대해선 비교적 긍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CCS를 선제적으로 연구개발 투자해 온 SK와 포스코, 삼성, GS 등 국내 기업에도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친환경 생태계 전반에 걸쳐 세액공제 및 산업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CCS 분야 보조금 지급에 대해선 변경이나 폐지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이 현지 산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CCS는 화석연료 사용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압축·수송해 땅속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부활을 예고한 석유·가스의 생산량 확대를 위해선 CCS의 일종인 EOR(원유회수증진)이 필요하고 천연가스를 활용해 블루수소·암모니아를 생산할 때도 CCS가 쓰인다. 에너지 자립을 강조해 온 트럼프 당선인으로서도 CCS는 석유·가스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는 길이라는 얘기다.

트럼프 당선인은 1기 행정부 시절에도 CCS 프로젝트에 대한 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하는 법안에 서명한 바 있다. 그간 글로벌 CCS 보급을 미국 산업계가 선도해 온 만큼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CCS 관련 미 정부의 지원이 지속될 경우 미국 내 CCS 사업 확대는 물론 전반적인 시장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국내 주요 기업은 CCS가 우리 환경에 적합한 탄소중립 달성 수단이라고 보고 관련 연구개발 및 투자에 적극 임해 왔다.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달성에 있어 CCS 의존도가 큰 편이다. 블룸버그NEF 분석을 보면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상 CCS 기여 비중은 전체 감축량의 41%로 글로벌 시나리오상의 14%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CS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SK그룹이다. SK이노베이션 E&S는 2012년부터 개발에 참여해 온 호주 바로사 가스전에 CCS 기술을 적용해 저탄소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할 계획이다. 바로사 가스전에서 생산되는 LNG를 국내로 들여와 블루수소를 만든다는 구상도 세우고 있다. 뿐만 아니라 콘티넨털 리소스 등 미국 에너지 기업과 북미 CCS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2021년부터 CCS 전담 조직을 두고 미국을 포함해 호주, 동남아 등에서 해외 사업 개발을 진행해 온 SK어스온은 올해 8월 호주 해상 이산화탄소 저장소 탐사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 E&S와의 협력을 통한 공동 사업 추진도 기대하고 있는 대목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도 지난해부터 CCS 전담 조직을 두고 사업 개발을 추진 중이다. LNG 전 밸류체인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CCS 사업과의 연관성이 크다고 봤다.

특히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텍사스주 해상 CCS 지중저장소 사업 국제입찰에서 2개 광권을 확보하며 CCS 사업에 첫발을 내디뎠다. 또한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와 고갈 가스전 등에 대한 사업성 평가를 위한 공동 조사 사업을 진행하며 CCS 가치사슬 구축을 추진 중이다.

에너지 전환 부문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 삼성E&A도 CCS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캐나다 스반테, 영국 카본 클린 등 글로벌 기술기업과 탄소 포집 설비 개발 및 플랜트 적용 등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SK에너지와 SK어스온, 롯데케미칼과는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국내 허브에 집결시킨 후 말레이시아로 이송·저장하는 셰퍼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GS칼텍스 역시 신사업으로 CCS를 주목하고 있다. CCS의 주요 기술이 석유개발 기술과 유사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GS칼텍스의 경우 이산화탄소 저장을 포함한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사업의 전 영역에 참여하고 있는데 올해 4월부터 한국화학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 인프라 점검, 상용화 검토 등에서 협력하고 있다. 김은희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