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리스크에도 외인 이탈 크지 않아”
회사채 발행 시장 얼어붙어…“연초효과 미미할 듯”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전날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채권 시장도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단,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등 대외적 변수가 더욱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8bp(1bp=0.01%포인트) 내린 연 2.541%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2.676%로 2.4bp 하락했다. 5년물도 0.5bp 하락해 연 2.623%에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는 사흘 연속 3년 및 10년 만기 국채 선물을 모두 순매도 양상을 보였다. 탄핵 가결로 인해 불확실성이 줄면서 외인도 다시 복귀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2016년 박근혜 탄핵안이 국회에서 의결했을 때 여론조사 결과 부합하는 탄핵 가결로 채권시장 큰 변동은 없었다. 오히려 다음 달 20일 앞둔 트럼프 취임과 추가적인 미 연준 금리 인하 등 대외적 재료 연동 여부가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계엄 정국 동안 채권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 현상은 크지 않았다고 투자 업계는 분석했다. 탄핵안 의결 이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채권 금리는 하락 압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고채 통합정보시스템 캡처] |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탄핵이 의결되면서 정치 불확실성 해소됐고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하방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는 생산자물가지수(PPI) 급등으로 완만해지는 분위기로, 상방 압력 받을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작용해 상방과 하방 요인이 상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반면, 정치적 악재가 해소되면서 안전 자산인 채권 선호도가 하락해 채권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계엄 정국에도 국채 금리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상승할 수 있다고 본다”라며 “안전 자산 선호 현상으로 국채 금리는 하락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하락했던 위험자산(주가)은 반등하고 안전자산의 가격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 불확실성이 줄어들었으나 불구하고 회사채 발행 시장은 얼어붙을 전망이다. 통상 회사채 발행은 1월에 가장 활발히 이뤄지지만 올해는 연초 효과를 누리기 어려워 보인다.
김 연구원은 “보통 12월에 회사채 발행 계획을 짜고 1월에 발행하는 수순이나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 계획 수립이 탄해 정국으로 인해 연기되고 있다”라며 “예년에 비해서 1월 발행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3년 만기 국고채와 회사채(무보증·AA-)간 금리 차인 크레딧 스프레드는 강보합세를 보일 전망이다. 연초 효과로 인해 스프레드가 하락하는 게 일반적이나, 올해는 연초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결과다.
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