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현대百도 ‘선배당·후투자’…주주친화 행보

“배당락 쇼크 피하자” 배당기준일 연말→이사회後
소비 침체 따른 주가 부진에 기업가치 제고 ‘안간힘’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전경. [롯데지주 제공]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롯데쇼핑, 신세계, 현대백화점 등 유통업체들이 연말 ‘배당락 쇼크’를 피하기 위해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이후로 변경하는 ‘선배당·후투자’ 제도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소비 침체 장기화에 따른 주가 부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내놓은 주주친화 정책으로 풀이된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지주를 비롯해 롯데쇼핑, 롯데하이마트, 롯데칠성음료, 롯데웰푸드, 롯데렌탈, 롯데케미칼 등 계열사들은 일제히 2024회계연도 배당기준일을 매 결산기말(12월 31일)에서 ‘이사회에서 정하는 날’로 변경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와 현대백화점과 이마트, GS리테일 등 다른 대형 유통업체는 물론, 대상, 삼양식품, 풀무원, 오리온, 빙그레 등 주요 식품업체들도 통상 연말로 결정됐던 배당기준일을 내년 이사회 이후로 연기했다.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 에이블씨엔씨, 토니모리 등 화장품업체와 한섬, LF, 한세실업 등 의류업체 역시 정관 변경을 통해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이후로 바꿨다.

이 같은 선배당·후투자 정책은 연말 배당락일(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에 배당을 노렸던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매도 물량을 쏟아내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사회에서 결정되는 배당 여부 및 배당금 등을 확인하고 주식을 매매할 수 있어 일종의 안전장치 성격도 있다.

정부는 투자자들이 이듬해 열리는 정기주주총회 전까지 배당금도 모른 채 투자하는 ‘깜깜이 배당’을 막기 위해 지난해부터 배당기준일을 손질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앞서 CJ, 이마트 등도 지난해 정기주총에서 정관을 변경해 선배당후투자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유통업체들이 선배당·후투자 제도를 받아들이는 배경에는 지지부진한 주가 흐름이 있다. 고물가·고금리, 경기 둔화가 장기화되는 상황에 비상계엄·탄핵 등 정치 리스크까지 겹쳐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주가가 좀처럼 상승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어서다.

실제 백화점 대장주인 롯데쇼핑은 2월 13일에 기록한 연고점(9만2100원)에 비해 주가가 40% 가까이 미끄러지며 5만7000원대에 머물고 있다. 신세계도 2월 한때 19만원을 넘었으나, 현재는 13만원대에서 답답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대백화점도 연초 6만원대에서 4만원대로 주가가 떨어졌다. 이마트의 경우에도 주가가 연고점(8만8500원) 대비 30% 가까이 하락한 상태다.

선배당·후투자 외에도 주주친화 경영 행보도 두드러진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이날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계열사 통합 기업설명회(IR) 행사인 ‘코퍼레이트 데이’를 진행한다. 더현대 신규 출점 등 주요 추진 전략과 배당 확대 등 밸류업 계획 등에 대한 설명이 이뤄질 예정이다.

오너 일가의 자사주 매입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은 책임경영 의지를 보이기 위해 자사주 공개매수에 나섰다. 5월 10일 2.29%였던 지분이 9월 13일 16.60%로 확대된 상태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