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가계대출 문턱, 확 낮아진다

한국은행,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 발표


올해 1분기 가계대출 문턱이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대폭 낮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태도를 강화하겠단 은행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챗GPT로 제작한 이미지]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올해 1분기 가계대출 문턱이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1)는 전 분기(-27)보다 26포인트나 커졌다. 한 분기 사이 강화 의견이 크게 줄어 완화 의견과 거의 비슷해졌다는 의미다.

한은은 이 조사를 통해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 신용위험에 대한 평가를 가중 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로 산출한다. 지수가 양(+)이면 ‘완화(대출태도)’ 또는 ‘증가(신용위험·대출수요)’라고 답한 금융기관 수가 ‘강화’ 또는 ‘감소’보다 많은 상태를 말한다. 음(-)이면 반대다.

대출 주체별로 나눠보면 가계 주택대출과 신용대출 등 가계 일반대출에 대한 태도 지수가 각 6, 3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 뚜렷한 강화 우위(-42·-39)에서 완화 우위로 돌아선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생활안정자금과 주택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담보대출, 비대면 신용대출 등에서 가계대출 태도 완화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대기업(-3)과 중소기업(-3) 역시 여전히 강화 의견이 다소 많지만, 전 분기(-11·-17)와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1분기 대출수요 종합지수(25)는 작년 4분기(7)보다 18포인트 올랐다. 수요 증가 전망이 크게 늘었다는 뜻이다.

가계 주택대출(6→19)과 일반대출(8→14), 대기업(0→17), 중소기업(8→31)에서 모두 수요 확대가 예상됐다. 기업의 경우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업황 부진 등으로 운전자금 수요 증가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국내 은행이 예상한 1분기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34로, 전 분기(28)보다 6포인트 높아졌다. 대기업(11→28), 중소기업(33→39), 가계(22→28) 모두에서 신용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의 신용위험은 업황 부진, 자금 사정 악화로 높은 수준이 이어질 것”이라며 “가계의 신용위험 역시 소득 개선 지연, 채무상환 부담 지속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Print Friendly